인천공항세관이 주최하고 인천국제공항공사가 후원한 이번 행사에 인천마약퇴치운동본부는 김수경 본부장과 필자를 비롯한 운영위원 및 직원들이 참석해 여행객을 상대로 캠페인을 벌였다.
개회식에서 이대복 공항세관장은 ‘세계화의 진전에 따라 국가 간 인적 물적 교류가 확대되고,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마약류의 국제간 이동도 증가해 국민의 건강과 사회 안전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고 강조했다.
또한 불법 마약류의 확산을 국경단계에서 조기 차단하기 위해 국내외 유관기관과 협력하여 단속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인사말을 통해 밝혔다.
3일간 지속되는 이번 행사에서는 교묘한 방법으로 마약 밀수에 이용된 은닉도구, 고성능 마약탐지 기구 등이 전시되어 관람객의 관심을 끌었다.
그중엔 강아지 인형, 담뱃갑, 우황청심환 밀랍 포장, 빨간 고추, 담배개피, 장식용 대형 양초, 손목시계 안, 두꺼운 책 가운데를 오려낸 공간, 볼펜 케이스 안벽과 책갈피 안을 마약 은닉 공간으로 이용한 기발한 경우도 있었다.
중국 골동품과 우편서류, 비타민 용기, 신체의 항문 안, 운동화 밑창, 2중으로 만든 여행용 가방, 사진액자 안에 마약을 숨기는 아이디어는 혀를 내두를 정도였다.
여덟 명의 여행객 가방 중에서 마약이 은닉되어 있는 목표물을 찾아내는 마약탐지견의 시범은 마약 밀수를 엄두조차 낼 수 없도록 경각심을 심어 주었다.
관세청의 지난 해 마약(메스암페타민, 대마류) 단속 실적은 161건(42kg)으로 768억 원에 달하며, 이 분량은 2005년부터 3년간 국내에서 압수한 마약류의 45%, 필로폰의 70%에 해당된다.
형사정책연구원의 발표에 의하면 메스암페타민(필로폰 혹은 히로뽕) 1kg을 국내에 밀반입할 경우 사회적 예상 손실비용은 약 388억 원에 이른다고 한다.
만에 하나 관세청을 비롯한 단속기관에서 밀수 마약을 적발하지 못했다면 우리나라는 마약 청정국이 아닌 마약 조직의 천국이 되었을 것이다.
마약류에 중독되면 신경조직망의 손상으로 정상적인 생활이 곤란해진다. 기억력이 감퇴하고, 집중력과 판단력에 장애가 발생하며, 뇌•간•심장 등 신체 각 기관이 손상되어 결국 사망에 이른다. 여성의 경우는 기형아를 출산할 수도 있다.
더 심각한 경우는 환각 등 비정상적인 정신 상태에서 강도•절도•살인 범죄를 저지를 수 있다.
마약퇴치 운동은 사회적인 문제점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필요하다. 우리나라가 아직까지 마약청정국의 명예를 누릴 수 있는 것은 마약밀수범 검거 못지않게 마약퇴치 운동이 활발하게 이뤄졌기 때문이다.
1992년 4월, 인천시약사회에서 설립한 (재)인천마약퇴치운동본부는 그동안 국가에서 해야 할 업무를 대신 수행해 왔다.
청소년 흡연•음주와 관련한 학교 예방교육과 교사 교육, 약물 경험자들을 상대로 한 치료교실과 그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비롯해 올해만 해도 1천 280여회의 교육을 실시한 바 있으며 교육을 요청하는 단체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특히 마약퇴치 교실은 2007년도 47회(573명)에서 금년 11월 말 현재 75회(1,308명)로, 청소년 행복한 교실은 49회(643명)에서 51회(977명)로, 캠페인은 15회(26,400명)에서 17회(27,800명)로 증가했다.
약물 경험자와 가족들을 대상으로 한 집중 상담도 지난해 385명에서 금년 11월말까지 432명으로 계속 늘어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천마퇴본부는 업무 폭주로 인해 청년 인턴 1명 외 3명의 직원이 격무에 시달리고 있지만 인천시의 보조금은 인건비로 한 푼도 지출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마치 교통비도 안 주고 출장을 다녀오라는 식이다.
한국마퇴본부의 국고보조금도 직원 1명의 인건비 일부만 지출할 수 있어 나머지 2명은 각계각층의 후원금으로 충당해야 하는 실정이다.
게다가 올해 9,500만원을 지원했던 인천시는 2010년 예산을 절반에 가까운 5천여만 원으로 삭감해 지난 3일에 열린 인천마퇴본부 운영위원회에서는 어떤 사업을 축소해야 할지 한숨만 내쉬었다.
마퇴본부는 미래의 청소년 문제와 사회 범죄를 사전에 예방하는 역할을 해 왔기에 지금까지 진행해 온 프로그램 중 어느 것 하나도 버릴 것이 없다.
국가가 해야 할 중대한 사업을 대행하고 있는 인천마약퇴치운동본부의 삭감된 보조금을 인천시와 시의회는 추경에서 반영해주기 바란다.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