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대한약사회 권영희 회장이 임기 중 최우선 과제로 성분명 처방 제도화를 꼽았다.
권 회장은 7일, 취임 후 처음으로 출입기자단 대상 기자간담회를 개최해 대한약사회의 새로운 슬로건을 발표했다.
그는 “새 집행부의 의지를 담은 새로운 슬로건은 '국민 건강을 위한 약속, 신뢰받는 약사, 믿음 주는 약사회'”라고 밝혔다.
이어 “이 슬로건은 단순히 구호에만 그치지 않는다"면서 "국민과 약속이자 약을 통한 신뢰의 다짐”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이를 위해 “약사들은 의약품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약료의 전문가로서 국민 건강이 최우선이라는 소명아래 사회적 위상을 재정립할 것”이라며 “대한약사회를 국민과 회원에게 믿음을 주는 조직으로 만들기 위해 행동하고, 실천으로 보여드리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권 회장은 회무의 최우선 과제로 성분명 처방의 제도화를 꼽았다. 이를 위해 전담 TF도 설치한다는 방침이다.
그는 “약사회의 최우선 과제는 명확하게 성분명 처방의 제도화”라며 “성분명 처방은 국민이 복용하는 약의 성분을 제대로 알고, 이해하며, 알권리와 선택권을 신장할 수 있는 발판”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약사회는 더 이상 성분명 처방을 토론의 대상으로 내버려 두지 않겠다”며 “입법을 통해 제도화하는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성분명 처방과 관련해서 약사회가 할 수 있는 방법은 이미 다 나와있다”며 “이를 위해 집행부는 4월 중으로 성분명 처방 TF, 한약사 문제 해결 TF, 행위기반 수가 TF, 통합 약료 전문약사 TF를 가동, 여러 기관과 소통하고 홍보해 끝까지 이뤄내겠다”고 전했다.
한편, 권 회장은 취임 직후 발생한 현안들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3월 중순에 있었던 공정위 조사부터, 3월 말 규제샌드박스 신산업규제혁신위원회를 통과한 화상투약기 논란까지 잘 풀어내는 중이라고 전언이다.
그는 “공정위 조사는 진행 중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할 수 없지만, 약사회는 공정거래법을 위반하는 어떠한 행위도 하지 않았다”며 “공정위 조사에 대해서는 여러 방법으로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화상투약기와 관련해서는 다각도로 적절하게 대응하고 있다”면서 “복지부와 같은 의견이 많아 부처와 논의하며 대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다만 “화상투약기 격오지 설치 권고는 논의 안건이 아니었다”면서 “이는 논의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안전상비약 품목확대와 같은 문제들도 집행부 차원에서 준비하고 있다”고 부연했다.
끝으로 권 회장은 비대면 진료와 약 배송에 있어서는 재택수령을 중심으로 진행해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그는 “비대면 진료 허용을 위한 의료법 개정은 이제는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라며 “하지만 약 배송 관련 사항은 약사법을 개정해야 하는데, 이 부분은 지금 약사법에 재택수령이라는 용어로 정해져 있으니, 이를 중심으로 가야 한다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정부 주도의 공적 전자처방전 도입과 관련한 입법을 서두를 생각”이라며 “이외에도 약 배송에 대비해 전 집행부에서 만든 공적처방전달시스템(PPDS)은 그대로 유지하지만, 가동을 돕기 위한 부가적인 활동은 축소할 계획”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