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가 약사 성금을 두고 갈피를 잡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일부 지역본부가 자구책을 모색하고 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올해 초 약사사회에서는 마퇴본부에 전달하는 약사 성금을 두고 논쟁이 벌어졌다.
마퇴본부가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기타공공기관으로 지정되며 인건비와 시설 관리비 등을 국가 예산으로 충당하기 시작했고, 이에 약사 성금이 필요하지 않다는 주장이 나왔기 때문이다.
논쟁이 이어지자 일부 지역 본부에서는 올해부터 약사 성금을 걷지 않겠다고 발표했지만, 서울과 경기도 등 다른 지역에서는 모금을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맞섰다.
이 가운데 식약처에서 지역본부가 추가 인력 고용 없이 무리하게 지자체와 연계해 사업을 진행한다고 제동을 걸어, 약사성금 논란이 마퇴본부의 독립성 공방으로 번지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지난 2월 28일 마퇴본부 제1차 이사회에서도 약사 성금을 두고 격론이 벌어져 2025년도 예산안이 처리되지 못하는 일도 벌어졌다.
마퇴본부는 제1차 이사회 이후 약 한 달이 지났지만, 아직까지 성금 문제를 완벽하게 정리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서면 이사회를 열어 사업계획안과 예산안 등의 안건들은 처리했지만, 아직 약사성금 문제는 해결할 방법을 찾지 못했다는 것.
아직 모금이 얼마나 진행됐는지 알 수 없어 성금 처리 방안을 찾기도 어려운 상황이라는 전언이다.
이 가운데 일부 지역마퇴본부들은 모금한 약사 성금을 바탕으로 지자체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마퇴본부 관계자는 “경기도와 부산 등 일부 지역 마퇴본부에서 지자체 사업을 수행하겠다는 의사를 밝혀왔다”며 “경기도 마퇴본부는 자체적으로 계약직 인력을 고용해서 지자체 사업을 수행하겠다고 알려와 마퇴본부에서 승인했다”고 밝혔다.
한편 대한약사회는 식약처, 마퇴본부, 약사회의 삼자회동을 통해 올해 안에 약사 성금 문제를 풀겠다고 밝혔다.
약사회 관계자는 “약사회와 식약처, 마퇴본부가 성금 문제를 함께 풀어야 한다"고 전제했다.
이어 “마퇴본부에서 약사 성금의 회계처리가 어려운 부분이 있다고 했으니, 이를 해결할 수 있게 마퇴본부 안에 기금운영위원회 같은 조직을 만드는 방안도 구상 중”이라면서 “최대한 지역 마퇴본부들이 자유롭게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고자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