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약뉴스] 한의학진흥원에서 발표한 ‘요추추간판탈출증 한의표준임상의료지침-매선부분’에 대해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원(원장 우봉식)이 문제를 제기했다.
분석 결과 여러가지 오류가 발견됐고, 지침에 활용된 논문도 질이 낮아 진료지침으로 권고하기 부적절하다는 주장이다.
의정연은 최근 ‘2020년 발행된 요추추간판탈출증 한의표준임상의료지침-매선 부분’이란 제하의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한국한의학진흥원 한의표준임상진료지침 개발사업단은 지난 2020년, ‘요추추간판 탈출증 한의표준 임상진료지침’을 발표했다.
진료지침은 요추추간판탈출증에 대해 매선 등 한의학적 치료 방법의 근거와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요추추간판탈출증은 가장 흔한 근골격계 질환으로, 환자에 따라 일상생활과 직업수행에 장애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에 다양한 치료방법이 개발돼 임상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다.
이 가운데 의정연은 한국한의학진흥원 개발사업단에서 발표한 ‘요추추간판탈출증 한의표준임상의료지침-매선 부분’에 대해 개발 과정의 오류를 확인, 근거가 불충분한 한방 치료의 문제점을 국민에게 널리 알리고자 연구를 진행했다고 배경을 밝혔다.
먼저 연구팀은 진료지침에서 근거자료로 제시한 참고자료들의 적절성을 분석ㆍ검토했다.
사업단에서 근거 자료로 제시한 연구 자료 외에 발표된 연구 자료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 고찰을 시행하고 평가했으며, 매선 치료에서 사용하는 의료재료 및 시술 방법의 안전성에 대해 전문학회 및 전문가들의 의견을 취합했다.
또한, 지침 개발 과정의 적절성을 평가하고자 진료지침 질 평가에 활용되는 AGREE(Appraisal of Guidelines, Research and Evaluation) Ⅱ 방법과, 매선 치료의 안전성ㆍ유효성 검증을 위해 연구진이 만든 검색식 Rob와 GRADE 도구를 이용, 관련 연구 자료를 분석했다.
그 결과 ‘요추추간판탈출증 한의표준임상의료지침-매선 부분’은 여러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 연구팀의 지적이다.
먼저 AGREE Ⅱ를 이용해 ▲범위와 목적 ▲이해당사자의 참여 ▲개발의 엄격성 ▲표현의 명확성 ▲적용성 ▲편집의 독립성 등 6개 영역에서 총 23개의 항목을 평가한 결과 161점 만점에 113점으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6개 영역 중 ‘개발의 엄격성’과 ‘적용성’에서는 각각 만점대비 57%, 46%로 낮은 점수를 획득했다”면서 “한의학 지침임에도 불구하고 영상의학적 진단 방법을 통해 환자를 선택하는 등 ‘정의, 임상현황, 진단 및 평가’에서 현대의학적인 관점으로 기술됐으며,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의 동일성, 일체감이 상실돼 있었고, 척추추간판탈출증의 하위 범주에 ‘변증’ 이라는 진단과 무관한 항목을 열거한 후 치료원리를 적용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매선 단독치료 부분의 참고자료 12편을 분석했는데, 12편의 참고 문헌 중에 중복된 연구가 포함돼 있었고, 한 연구에서는 14세 환자가 포함, 대상 선정 기준에 맞지 않는 환자군으로 구성됐다”며 “나머지 10편에 대해서는 RoB와 GRADE 도구를 이용, 평가했는데, 해당 임상진료지침 개발단에서는 근거 수준을 ‘중등도’로 제시했던 것과 달리 ‘매우 낮음’으로 평가됐다”고 밝혔다.
이어 “매선 병행치료 부분의 참고자료 7편을 분석했는데, 1편은 무작위 대조시험이 아닌 protocol 논문에 해당해 평가에서 제외했다”며 “나머지 6편에 대해 RoB와 GRADE 도구를 이용해 평가한 결과, 해당 임상진료지침에서 근거 수준을 ‘중등도’로 제시한 것과 달리 ‘매우 낮음’으로 평가됐다”고 전했다.
선택된 전체 논문들 중 13편이 무작위 연구로 보기에 신뢰성이 떨어졌으며, 연구결과를 분석하는 통계적 방식에서도 다수의 오류가 발견됐다는 지적이다.
뿐만 아니라 “지침에 활용된 매선 치료 효과 관련 연구는 주로 중국 연구자들이 중국 학회지에 발표한 자료들로, Journal Citation Reports(JCR)에 등재되지 않은 논문이었다”며 “이 같은 제반 사정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요추추간판탈충증 환자에게 매선 치료는 적절하지 않은 치료법이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한의학에서 주장하는 매선 치료의 원리나 효과는 의과학적인 방법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었으나, 사용하는 의료재료 및 시술 방법은 현대 의료행위와 거의 동일했다”며 “전문학회 의견을 따를 때, 매선치료의 심각한 부작용에는 괴사, 감염, 실 노출 등이 있으며 이들 부작용들은 대부분 외과적 치료가 필요한데, 기존 한의사 교육과 진료의 범위에 이 내용이 포함됐는지 검토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