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0:01 (금)
시빈코ㆍ네폭실ㆍ셈블릭스 신규 등재, 옵서미트 30% 인하
상태바
시빈코ㆍ네폭실ㆍ셈블릭스 신규 등재, 옵서미트 30% 인하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3.06.28 06: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약제급여목록 개정...울토미리스ㆍ베라씰 추가 등재

[의약뉴스] 한국화이자제약의 아토피 피부염 치료제 시빈코와 한국쿄와기린의 고인산혈증 치료제 네폭실, 한국노바티스의 만성골수성백혈병치료제 셈블릭스가 약제 급여 목록에 신규 등재됐다.

기존 등재 품목 중 울토미리스(한국아스트라제네카)와 베라씰(한국존슨앤드존슨메디칼)은 새로운 용량이 추가 등재된다.

또한, 기존 품목 중 옵서미트(한국얀센)의 급여 상한금액은 30% 인하되며, 급여 목록에서 삭제될 예정이었던 마도파(한국로슈) 2개 품목은 오는 12월 31일까지 급여 삭제가 유예된다.

▲ 보건복지부는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 27일 고시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17호) 시행일은 내달(7월) 1일이다.
▲ 보건복지부는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 27일 고시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17호) 시행일은 내달(7월) 1일이다.

보건복지부는 이와 같은 내용을 반영해 약제 급여 목록 및 급여 상한금액표를 일부 개정, 27일 고시했다.(보건복지부 고시 제2023-117호) 시행일은 내달(7월) 1일이다.

고시에 따르면, 네폭실캡슐500mg의 급여 상한액은 캡슐당 377원, 셈블릭스정은 20밀리그램이 정당 5만 914원, 40밀리그램이 정당 7만 6371원으로 책정됐다.

시빈코정의 급여 상한액은 50밀리그램이 정당 1만 1087원, 100밀리그램이 정당 1만 7739원, 200밀리그램은 2만 5942원으로 등재됐다.

베라씰프리필드시린지키트는 기존 2ml에 더해 4ml이 26만 9509원, 울토미리스주100mg/ml는 기존 30ml/병에 더해 3ml/병이 559만 8942원, 11ml/병은 1903만 6403원으로 추가 등재된다.

스트렌식주 4개 용량은 한독에서 한국아스트라제네카로 공급사를 변경, 신규 등재됐다. 

기존 품목 중 옵서미트정10밀리그램의 상한액은 정당 4만 8512원에서 3만 3958원으로 30.0% 인하되며, 내년 6월 1일 23.5% 추가 인하된다.

또한, 아트맥콤비젤연질캡슐(한국유나이티드제약)의 급여 상한액은 1219원에서 960원으로 21.2%, 콜렌시나연잴캡슐(국제약품)과 콜렌시아정(국제약품)은 522원에서 469원으로 10.2%씩 인하된다.

타크로리캡슐은 캡슐당 2868원에서 2584원으로 9.9%, 타크로리캡슐0.5밀리그램(이상 이연제약)은 캡슐당 2121원에서 1691원으로 20.3% 인하된다.

트루리시티(릴리)는 0.75밀리그램이 펜당 1만 9226원에서 1만 8382원으로 4.4%, 1.5밀리그램은 3만 1181원에서 3만 666원으로 1.7% 인하된다.

이외에도 엔트레스토필름코팅정(노바티스)은 50밀래그램과 100밀리그램, 200밀리그램 3개 용량 모두 정당 1792원에서 1774원으로 1.0%씩 인하된다.

반면, 석시콜린주50mg/ml(일성신약)의 급여 상한액은 2ml 앰플당 910원에서 1142원으로 25.5%, 제일페티딘염산주사액은 50mg/1ml가 앰플당 314원에서 393원으로 25.2%, 25mg/0.5ml는 앰플당 283원에서 314원으로 11.0% 인상된다.

또한 포로스점안액(삼일제약)은 10ml 병당 1309원에서 1496원으로 14.3%, 메게시아정160mg(다림바이오텍)은 정당 471원에서 513원으로 8.9%, 셀트리온옥시메톨론정(셀트리온제약)은 정당 710원에서 728원으로 2.5% 인상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