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8 00:01 (금)
[EASL 2023] 티쎈트릭+아바스틴, 고위험 간세포암에도 긍정적 효과
상태바
[EASL 2023] 티쎈트릭+아바스틴, 고위험 간세포암에도 긍정적 효과
  •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 승인 2023.06.23 05: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대병원 허정 교수 발표...방사선치료 함께하면 더 효과적

[의약뉴스] 전이성 간세포암 1차 표준요법인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 이상 로슈) 병용요법이 고위험 환자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국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 전이성 간세포암 1차 표준요법인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 이상 로슈) 병용요법이 고위험 환자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국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 전이성 간세포암 1차 표준요법인 티쎈트릭(성분명 아테졸리주맙)과 아바스틴(성분명 베바시주맙, 이상 로슈) 병용요법이 고위험 환자에서도 효과적이라는 국내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티쎈트릭과 아바스틴 병용요법은 진행성 간세포암 1차 치료에서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한 표준요법이지만, 고위험 환자에 대한 데이터는 제한적이었다.

이 가운데 22일, 유럽간학회 연례학술회의 EASL 2023에서는 부산대학교병원 허정 교수가 국내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 215명을 대상으로 티쎈트릭과 아바스틴 병용요법을 평가한 후향적 임상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215명의 환자 가운데 절반에 가까운 98명(45.6%)가 주문맥(Vp4) 혈전, 담관 침범 또는 50%를 초과하는 간 침윤이 있는 고위험군이었다.

고위험 환자를 포함한 전체 환자에서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요법의 객관적 반응률(Objective Response Rate, ORR)은 21.9%, 질병조절률(Disease Control Rate, DCR)은 73.9%로 집계됐다.

또한 무진행생존기간(Progression-Free Survival, PFS) 중앙값은 8.68개월(95% CI 7.26-10.10), 전체생존기간(Overall Survival, OS) 중앙값은 11.25개월(95% CI 9.50-13.00)으로 확인됐다.

이 가운데 고위험군에서는 객관적반응률이 23.5% 질병조절률은 67.3%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무진행생존기간 중앙값은 7.32개월(95% CI 4.78-9.85),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10개월(95% CI, 8.19-11.82)로, 전체생존기간에서만 의미있는 차이가 나타났다는 것이 허 교수의 설명이다.

전체 환자군에서는 호중구 대 림프구 비율이 무진행생존기간과 전체생존기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으며, 고위험군에서는 방사선요법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저시점의 Child-Pugh 스코어는 전체생존기간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