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약, 대책고심…"근본해결 힘들어"
고질적인 약국간 일반의약품 난매 문제가 또다시 약계 전반을 뒤흔들고 있다.
최근 노원구약사회는 일반약 제값 받기 운동을 적극 전개하는 등 대형약국을 중심으로 하한선을 정하자는 의견을 개진했다.
노원구약은 우선 박카스를 박스당 최하 3천400원을 받기로 결정하고 점차 품목을 확대하는 방식으로 가격질서를 확립키로 했다.
반면 대한약사회(회장 원희목)와 건강사회를 위한 약사회(회장 천문호)는 일반약의 하한선 설정 자체가 약국간 담합으로 인식될 것을 우려하고 있다.
지난 1998년 희망소비자 가격제도에서 의약품가격표시제도를 도입, 시장원칙에 입각한 일반약 가격결정을 정책적으로 지향해온 만큼 하한선 책정은 시대에 역행한다는 것.
이들 단체는 일반약 하향선 책정은 정부의 규제강화라는 또 다른 문제로 불거질 수 있어 신중히 접근해야 할 사안이라고 주장했다.
일반약 난매는 복지부조차 통제할 수단이 없어 약사회가 문제해결에 적극 나서야 하지만, 이를 근본적으로 막을 수는 없다는 것이 난제다.
이에 대해 대약은 올해 상반기까지 중점관리품목만이라도 도매상의 출고가격과 약국공급가 실태조사에 착수하고 거래명세서의 실제판매금액의 대조차를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대약 관계자는 "최근 노원구약에서 정찰제로 가자는 말이 나오고 있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며 "결재금액을 통합하면 소비자 차원에서는 공공거래법 위반이 되기 때문에 약국공급가의 최대ㆍ최저를 파악하고 사후 관리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건약 천문호 회장은 "보험약가 차액조차도 국가가 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대약이 일반약 난매를 잡겠다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라고 말했다.
천 회장은 또 "대약이 일반약 난매의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시급하다"면서 "아울러 일반약의 약국공급가에 대한 기준이 조속히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
저작권자 © 의약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