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전체 4955건)
아스트라제네카는 장기지속형 C5 억제제 울토미리스를 희귀 신경퇴행성 질환인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치료제로 평가하는 임상 3상 시험에서 실패했다.
화이자의 경구용 JAK 억제제 젤잔즈는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 다관절형 소아특발성관절염과 소아 건선성관절염 치료제로 승인됐다.
▲ 브리스톨마이어스스퀴브의 옵디보는 미국에서 수술 후 재발 위험이 높은 요로상피세포암 환자의 보조요법으로서 승인된 첫 PD-1 억제제다.
아스트라제네카의 장기지속형 항체 칵테일 AZD7442는 임상 3상 시험에서 유증상 코로나19 발생 위험을 77% 감소시켰다.
▲ 아스텔라스는 유럽에서 파이브로젠과 협력해 만성 신질환 환자의 증후성 빈혈 치료제 에브렌조를 발매할 예정이다.
길리어드 사이언스는 동종 최초의 장기 지속형 캡시드 억제제 레나카파비르를 치료 옵션이 제한적인 HIV-1 환자의 치료제로 승인 신청 중이다.
▲ 중국 준시 바이오사이언스는 코헤러스와 협력해 미국에서 항 PD-1 항체 토리팔리맙의 승인 신청을 추진하고 있다.
BMS의 아벡마는 다발성골수종 치료를 위해 승인된 최초이자 유일한 항암 세포치료제다.
▲ 미국 정부는 화이자/바이오엔텍과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을 접종받은 뒤 8개월 이상 지난 사람을 대상으로 3차 접종을 실시할 계획이다. (사진출처 : AP)
당뇨약 자디앙은 박출률 감소 심부전 환자에서 심혈관계 사망 또는 심부전으로 인한 입원 위험을 위약 대비 25%가량 유의하게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GSK의 젬펄리는 불일치 복구 결함을 나타내는 재발성 또는 진행성 고형종양이 있는 성인 환자의 치료제로 신속 승인됐다.
릴리는 오는 9월부터 바이오메디슨 부문을 신경과학 사업부와 면역학 사업부로 나눌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