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포토 리스트

사진 (전체 4955건)

아스트라제네카의 이부셀드는 미국에서 노출 전 예방요법으로 허가된 유일한 항체 치료제다.

2021-12-09
 기사보기

화이자와 바이오엔테크는 백신 3차 접종이 오미크론 변이에 대한 중화 항체 역가를 2차 접종에 비해 25배 증가시킬 수 있다는 예비 실험실 연구 데이터를 공개했다.

2021-12-09
 기사보기

유럽 집행위원회는 악템라를 유럽의약청 자문위원회의 승인 권고 이후 하루 만에 성인 중증 코로나19 환자의 치료제로 허가하기로 결정했다.

2021-12-08
 기사보기

▲ GSK와 비어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소트로비맙은 모든 알려진 오미크론 돌연변이에 대한 활성을 유지하는 것으로 관찰됐다.

2021-12-08
 기사보기

아스트라제네카와 아이오니스는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증 치료제 에플론테르센의 개발과 상업화를 위해 최대 36억 달러의 제휴 계약을 맺었다.

2021-12-08
 기사보기

메디카고와 GSK의 코로나19 백신은 승인될 경우 세계 최초의 식물기반 코로나19 백신이 될 수 있다.

2021-12-08
 기사보기

▲ 로슈의 관절염 치료제 악템라는 이전에 스테로이드제로 치료받은 중증 또는 위중 코로나19 환자의 사망 위험을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2021-12-07
 기사보기

바이오헤이븐의 자베게판트는 편두통 급성기 치료를 위한 초속효성 비강분무용 CGRP 수용체 길항제다.

2021-12-07
 기사보기

미국 FDA는 JAK 억제제 린버크, 젤잔즈, 올루미언트를 이전에 TNF 차단제 치료에 불충분한 반응을 보였거나 내약성이 없는 환자에게만 사용하도록 했다.

2021-12-07
 기사보기

▲ MSD의 키트루다는 완전 절제술을 받은 IIB기, IIC기 흑색종 환자의 무재발 생존기간을 개선시켰다.

2021-12-06
 기사보기

▲ 레코르다티는 영국 기반 제약회사 EUSA 파마를 인수하면서 잠재력이 높은 성장 제품들을 획득했다고 밝혔다.

2021-12-06
 기사보기

미국 FDA는 릴리의 코로나19 항체 치료제 밤라니비맙과 에테세비맙을 중증 질병 위험이 높은 모든 연령의 환자에서 치료 및 노출 후 예방요법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긴급사용승인했다.

2021-12-06
 기사보기
사진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