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전체 4955건)
화이자의 먹는 코로나 치료제 팍스로비드는 경구 투여하는 최초의 코로나바이러스 특이 프로테아제 억제제다. (사진=로이터)
제리스 바이오파마는 미국 FDA로부터 성인 쿠싱증후군 환자의 내인성 고코르티솔혈증에 대한 치료제 레콜레브의 승인을 획득했다.
존슨앤드존슨 코로나19 백신 부스터샷은 오미크론 변이가 지배종인 남아공에서 입원 위험을 최대 85%까지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관찰됐다.
아밀릭스는 전 세계에서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치료제 AMX0035의 품목허가 신청을 추진 중이다.
아스트라제네카는 아이오니스와의 계약을 통해 전 세계 대다수 국가에서 ATTR 치료제를 개발하고 상업화할 수 있는 권리를 확보했다.
▲ 얀센은 재발성 또는 불응성 다발성 골수종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제 테클리스타맙에 대한 승인 신청서를 FDA에 제출했다.
▲ 엔허투는 임상 3상 시험에서 이전에 치료받은 HER2 양성 절제 불가능 및 전이성 유방암 환자를 대상으로 캐싸일라와 비교했을 때 질병 진행 또는 사망 위험을 72%가량 감소시켰다.
키닉사는 코로나19 관련 급성호흡기증후군 치료제로 마브릴리무맙을 평가한 임상 3상 시험에서 1차 효능 평가변수를 달성하지 못했다.
레오파마는 전 세계에서 5번째로 미국에서 중등증 및 중증 아토피피부염 치료제 트랄로키누맙의 승인을 획득했다.
시오노기제약은 베트남에서 재조합 단백질 기반 코로나19 백신 S-268019를 평가하는 임상 3상, 위약대조, 발병 예방 시험을 개시했다.
▲ 브리지바이오는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증 신약 후보물질이 트랜스티레틴 아밀로이드 심근병증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에서 1차 평가변수를 충족시키지 못했다고 전했다.
바이오젠과 에자이의 알츠하이머병 신약 후보물질 레카네맙은 미국 FDA에 의해 혁신치료제 및 패스트트랙 심사 대상으로 지정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