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76975 2077203
최종편집 2025-07-19 06:01 (토)
포토 리스트

사진 (전체 69525건)

▲ 남종길 교수

2025-05-26
 기사보기

(왼쪽부터) 현혜경 교수, 허철웅 교수, 김태일 교수, 손낙훈 교수

2025-05-26
 기사보기

황매화는 노랑을 잘 표현하는 꽃중의 꽃이다.

2025-05-26
 기사보기

누에가 뽑아낸 실인가. 아니다. 뽕나무 해충의 짓이다.

2025-05-26
 기사보기

▲ 덜퀑나무 꽃은 무더기로 피는데 흰 것이 보기에 장관이다.

2025-05-26
 기사보기

▲ 이것을 자르면 손에 진득한 것이 묻는다. 잘 닦이지도 않는데 냄새는 지독하고 맛은 쓰고 떫다. 송진이다.

2025-05-26
 기사보기

▲ 고층 건물 높이 만큼 올라와 아래를 내려다 보는 왜가리의 꿈이 실현될까요. 하나의 꿈은 하나의 좌절을 의미합니다.

2025-05-26
 기사보기

김희제 교수는 “이식편대숙주병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질환이 악화되기 전에 효과적인 치료제를 가능한 빨리 투여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환자에게 필요한 약제가 급여권 내에 빠르게 도입돼, 더 늦기 전에 장기 기능 손실을 막거나 최소화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5-05-25
 기사보기

김희제 교수는 “이식편대숙주병은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합병증”이라며 "끝이 보이지 않는 치료를 평생 지속해야 한다는 점에서 삶 전반에 깊은 고통을 남기는 질환”이라고 전했다.

2025-05-25
 기사보기

지난해 8월, 최초로 이식편대숙주병 치료를 위해 개발된 표적치료제 레주록(성분명 벨루모수딜)이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허가를 받아 패러다임 전환을 예고하고 있다. 실제 임상진료 환경에서 치료 옵션을 소진한 이식편대숙주병 환자들에게 희망을 전하고 있다는 평가다. 이에 의약뉴스는 서울성모병원 혈액내과 김희제 교수를 만나 이식편대숙주병의 질병 부담과 레주록의 임상적 가치를 조명했다.

2025-05-25
 기사보기

2025-05-25
 기사보기

▲ 동남권원자력의학원이 통증 바로 알기 캠페인을 개최했다.

2025-05-23
 기사보기
사진 미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