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계, 보건소 야간진료 실시에 대응 모색한다
"공공-민간 의료영역 중복 피할 수 없을 것"
2004-03-08 의약뉴스
보건복지부가 대국민 행정서비스 확대 차원에서 전국 15개 보건소를 선정해 야간진료 서비스 시범사업을 실시키로 함에 따라 의료계가 반발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의료계의 입장은 복지부가 민간의료와 진료영역이 중복되지 않는 범위에서 공공의료를 30%까지 확대키로 했음에도 대도시지역 보건소 설립 계획을 추진하고 야간진료를 도입하는 것은 공공의료 강화로 민간의료가 크게 위축된다는 것.
의사협회 김성오 의무이사는 5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복지부가 민간의료기관중 40%를 장비 및 인원미달로 영업 정지한 것이 얼마 되지 않았는데 이런 일이 또 발생했다"라며 "공공의료 확충으로 국민들이 더 나은 의료서비스를 받는 것은 일견 좋은 의도일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김이사는 "하지만 민간의료기관과 많은 부분이 중복되는 사안에 대해 일방적인 시행을 강요하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로 "처음부터 이 사실을 알지 못했던 지역 병원들의 민원이 속출하고 있어 조만간 대책회의를 갖고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김이사는 "야간진료를 하는 병원들이 일부지역에 집중돼 있다거나 아예 없는 것은 공공의료와 민간의료가 조절해 나가야 할 문제"라며 "대규모 병원을 제외한 중소병원은 이 부분이 가장 민감한 사안일 것이다"라고 강조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보건소 야간진료는 오후 10시까지로 서울 서초구 보건소에서 야간진료를 실시한 결과 민간의료기관과 진료영역이 중복되는 사태는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복지부는 행정자치부와 협의를 통해 빠른 기일 내에 보건소 야간진료를 실시할 방침으로 있어 의료계가 어떠한 대응을 할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
의약뉴스 임정빈 기자(sorial@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