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의협 공세에 다각도로 대응"

단호한 태도로 근본 대책 실행중

2004-02-11     의약뉴스
약사회가 의협의 공세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나설 것으로 전망돼 추이가 주목된다.

약사회 관계자는 11일 의협 신문광고의 허구성을 지적하고, 산청군 집회에 대한 정부의 대책마련 요구, 항의서한 발송, 여론 홍보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약사회는 대약부터 분회까지 새 집행부가 구성되지 않아, 조직이 완전히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여서 구체적인 실행에 들어갈 수 있을 지는 미지수다.

약사회는 우선 의협이 광고에 게재한 조제료 부분이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이원형 의원이 만든 자료를 원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관계자는 "당시 대약에서 통계가 잘못되었음을 지적했고, 이에 대해 이 의원은 이를 인정하고 재사용이 없기를 바란다고 밝힌 바 있다"고 지적했다.

곧, 의협은 의약분업으로 약국에 4조 7997억원의 조제료가 지출되고, 총 8억원의 비용이 국민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주장하나 이는 통계상의 오류라는 것이다.

분업이전 환자가 약국의 직접 조제로 3년간 지불한 금액은 2조4000억원으로 추산되며, 분업이 안되었더라도 약국의보로 1조4천억원(조제료 8400억원)지출됐고, 분업이후 추가된 금액은 3년간 1조1천억원이라는 것이다.

또한 분업이후 병의원에 지급된 3년간 총액은 27조원으로, 연평균 2조8천억원이 추가지출 됐으며, 분업이전에는 99년 한해만 6조2천억원이 지출됐다고 설명했다.

약사회는 최근 의약분업 예외지역이던 경남 산청군이 의약분업 지역으로 편입되자 주민들이 `의약분업 저지 궐기대회'를 연 것에 대해 진상파악에 들어갔다.
 
대약은 경남지부에 정확한 경위를 보고하도록 하고, 일단 농민들의 시위가 수가체계의 모순에서 기인됐다고 판단 정부에 개선을 요구하기로 했다.
 
약사회 관계자는 전국의사대회가 17대 총선을 이용해 선택분업을 주장하기 위한 언론플레이로 분석하고 있다며 의협의 여론 공세 차단을 위해 반대 여론 형성에 주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서 최근 잡지 `뉴스메이커'에 실린 의협 김재정 회장 인터뷰 내용이 터무니 없는 허구적 내용이라고 밝히고, 이에 대해 공식 항의서한을 보낼 것이라고 전했다.

이와 함께 여론을 올바르게 반영해 줄 국회의원들과, 그간 연대를 맺어온 시민단체, 나아가 국민을 대상으로 의사들의 주장이 모순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약사회의 이런 태도는 정면충돌은 피하면서, 차분하게 근본적인 해결책을 차근차근 만들어 나가겠다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약사회 관계자는 "전면전을 펼 경우, 소위 '밥그릇 싸움'으로 국민들에게 인식될 우려가 있어 실익이 없는 소모전이 될 뿐이다. 의협이 국민과 보건정책을 이슈로 들고 나온 것도 이런 인상을 최소화 하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의협의 대대적인 집회 자체가 국민들에게 '밥그릇 챙기기'의 인상을 주는 핸디캡을 갖고 있다. 따라서 약사회는 소모적인 비난 보다는 단호한 태도를 보이면서 정책 변화를 막을 여론 형성에 주력할 계획이다. 이에 대한 비책은 이미 실행중"이라고 부연했다.

 
의약뉴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