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의협에 정면대응 보다는 국민친화적으로"

개국가 "맞대응은 소모적, 총선에 어필해야" 중론

2004-02-06     의약뉴스
의협이 전국의사대회를 추진하며 선택분업을 강한 어조로 주장하고 있어 약사회와 충돌로 비화되고 있다.

의협의 주장에 약사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가에 대해 본지에 들어온 개국 약사들의 의견을 정리해 보면 이렇다.

약사회가 전국시도지부장 당선자 명의로 성명을 내고 의협의 주장에 강력히 반발하거나 일간지 광고, 약사대회 등의 맞서기식 대응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는 견해가 대부분이었다.

한 개국약사는 "이는 한일간 독도 문제와 흡사하다. 약사회가 반발할수록 더 큰 이슈가 되고, 직능 충돌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면 약사회로서는 득이 될게 없다"는 의견을 제기했다.

이어서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달 14일 연두기자회견에서 '한·일 간에 독도 문제로 논쟁하는 것 자체가 별로 득이 되지 않는다. 신문 기고를 읽어 보니 내 아내를 자꾸 내 아내다 반복할 필요가 있는가. 내 아내는 그냥 말 안해도 내 아내라고 했더라'라고 말한 것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또 다른 약사도 이와 비슷한 의견을 냈다. 의협의 일방적인 주장에 복지부나 공단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고, 5일 병협도 의협의 참여 요구를 거절한 상황이라고 전하고, 약사회가 부하뇌동할 필요가 없다는 것.

나아가 의협의 주장은 결국 주장으로 끝날 뿐, 의약분업이 선택분업이 되거나 공단, 건정심의 조직이 바뀌는 것 같은 일은 결코 없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서울에서 약국을 열고 있는 K약사는 "의협에 정면 대응하기 보다는 복지부와 공동으로 금연운동이나 노인복지, 소외된 환자 돕기 등 국민에게 다가갈 수 있는 이벤트를 전개해 나가는 것이 훨씬 유익하고 효과적일 것"이라는 의견도 제시했다.

이런 의견들을 종합해보면 흥분한 상태에서의 소모적인 맞대응보다는, 차분히 대처하면서 약사의 역할을 대내외적으로 공감시키는 일이 한 차원 높은 대응 방식이라는 중론이다.

한 약사는 "특히 총선이 국가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이어서 국민들에게 약사 직능의 호감을 얻어내는 일이 전개된다면, 국회의원 출마자들에게 투쟁으로 일관하고 있는 의협과 대비되어 더욱 효과적인 인상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의약뉴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