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사꽃이 곱고 무성하다고 하지만
2012-03-12 의약뉴스
고려시대의 문인 이규보는 동백꽃에 관한 시를 지었는데요.
제목이 아예 동백화입니다. 한 번 볼까요.
동백화(冬栢花)
![]() | ||
![]() | ||
![]() |
복사꽃 오얏꽃이 비록 곱고 무성하지만 桃 李 雖 夭 夭 (도 이 수 요 요)
그 경박한 꽃은 믿기가 어렵고 浮 花 難 可 恃(부 화 난 가 시)
소나무 측백나무는 고운 안색이 없어 松 栢 無 嬌 顔(송 백 무 교 안)
귀한 바는 다만 추위를 이겨내는 것뿐 일세 所 貴 耐 寒 耳(소 귀 내 한 이)
동백은 어여쁜 꽃이 있으면서도 此 木 有 好 花(차 목 유 호 화)
또한 능히 눈 속에서 피어나네 亦 能 開 雪 裏(역 능 개 설 이)
깊이 생각건데 측백보다 나으니 細 思 勝 於 栢(세 사 승 어 백)
![]() | ||
![]() | ||
![]() |
꽃이 있으면서도 눈속에서 피어나는 동백꽃을 예찬했는데요.
![]() | ||
![]() | ||
![]() |
![]() | ||
![]() | ||
![]() |
11월에 시작해 4월까지 핀다고 하니 동백꽃 구경하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좋은 한 주 보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