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 방사선량 줄이는 기술 개발에 8억불 투자
GE헬스케어는가 저선량 기술에 8억불 이상 투자할 것이라고 밝혔다.
GE헬스케어는 지난 27일부터 시작된 2011년 북미영상의학회(RSNA 2011, 미국 시카고) 에서 ‘더 건강한 삶을 위한 기술’을 주제로 환자 중심의 차별화 된 의료기기 및 솔루션들을 대거 선보이고, 저선량 기술에 대한 투자계획을 밝혔다.
이에 따르면, GE헬스케어는 이미 지난 10여년 동안 약 5억불 가량을 방사선 피폭량을 줄이는 기술 개발에 투자해 왔으며, 향후 3억 불을 추가하는 등 저선량 기술을 위해 총 8억불을 투자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선량을 1 밀리시버트(1 mSv)이하로 낮추는 영상재구성 기술, 방사선량 보고 솔루션, 방사선량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고 의료진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및 온라인 교육 코스, 선량에 대한 웹사이트 등도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사측에 따르면, GE헬스케어는 이미 1세대 저선량 기술인 에이서(ASIR)에 이어 기존 장비대비 선량을 1/8까지 줄인 ‘베오(VEO)’를 통해 CT의 저선량 2세대 시대를 알리며 방사선 저감기술 분야에서 우위를 지켜왔다.
특히 디스커버리CT750HD에 적용되는 베오(VEO)는 CT 최초의 모델기반 반복재구성 (Model-Based Iterative Reconstruction: MBIR) 기술로서, 예전에는 상상조차 할 수 없었을 정도로 낮은 수준의 CT 선량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구현한다는 것이 사측의 설명이다.
과거에는 CT영상의 선명도와 노출 선량은 정비례 관계라는 인식이 존재했지만, 차세대 저선량 솔루션인 베오는 기존 선량보다 최대 80% 낮은 선량이 가능하면서도 공간해상도는 50%, 대조도분해성능(Low Contrast Detectability)은 75% 이상으로 이미지 선명도를 함께 향상시켜 의료진들이 환자 영상 이미지를 선량에 대한 걱정없이 보다 정확히 판독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
GE 헬스케어는 "앞으로도 지속되는 투자를 통해 저선량 의료기기 개발에서 한발 더 나아가 환자들이 과다한 방사능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맞춤형 모니터링 기술까지 확보해, 의료진이 최소한의 방사선으로도 진단의 정확도를 높여 환자 중심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