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고약 '거점 교품 센터'로 해결"
의약분업의 사생아 해결책 모색
2003-12-16 의약뉴스
개국가에서는 어떤 해결책을 생각하고 있을까? 의견을 들어 보았다.
그동안 재고약 문제는 각 분회별로 제약사와 개별 접촉을 통하여 해결해 왔다. 이에 대해 대약의 구조적인 해결책은 마련되지 않아 개국가와 제약사 영업부서 간의 갈등 요인으로 깁숙히 자리잡았다.
약국은 쌓이는 재고를 막을 방법이 없다. 의사의 처방약 변경을 어떻게 할 방법이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유효기간이 있는 의약품을 계속 쌓아둘 수는 없는 일이다.
제약사도 매출이 잡힌 부분을 반품으로 받아들이기 힘든 입장이다. 회사 경영 실적이 달려 있는 일인 데다가, 영업구조상 개개인의 실적 상황이 체크되는 만큼, 전임자의 매출을 반품으로 떠안기는 힘들다.
최근에는 반품 마찰로 송사가 일어나기까지 할 정도로 개국가와 제약사의 마찰은 심각한 수준이다.
그동안 제시된 해결책은 많다. 그러나 너무나 소모적이고 힘겹다. 약국의 반품을 분회로 모으고, 일일이 개별 제약사와 협의해야하고, 금액을 계산해야하고, 현금이냐 타제품 교환이냐 를 정해야 한다.
교품도 힘겹다. 한 도매상이 전국적인 유통망을 통해 반품을 받아 필요한 곳에 약국에 보내주고는 있지만 적절한 수요처를 찾기까지 유통상의 리스크를 안고 있다.
서울의 한 분회에서는 일부 고가약을 통으로 구입해 회원 약국에 소분해 파는 아이디어를 냈으나 배송 문제가 속시원히 해결되지 않아 참여율이 저조하다.
상황이 이렇게 되자 개국가는 대약에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만들어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울의 한 약사 회원은 소포장과 성분명 처방 의무화가 지지부진한데서 그 원인이 있다고 지적한다. 소포장은 제약사의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성분명 처방은 의료계의 반발이 만만치 않기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경기지역의 또 다른 회원은 성분명 처방이 해결되지 않는 한 의사에게 끌려갈 수 밖에 없다며 강력한 추진을 요구 했다.
대약은 최근 리비알 문제를 거론하며 제약사에 포소장 요구를 하고 나섰지만 흔쾌히 받아들이는 분위기는 찾아볼 수 없다.
한 개국약사는 '거점 교품 센터'를 설치해야 한다는 제안을 내놓았다. 이를 복지부 산하의 보건소에 설치하고 전국적으로 동시 검색이 가능한 홈페이지를 구성해 약품이 필요하다는 주문을 받으면 발송하자는 것이다.
반품 약국은 반품액의 10% 내외를 발송비로 제하고 이를 약품 교환권으로 발급해 차후에 필요한 약품을 구매하는데 사용하면 된다는 제언이다.
보건소를 거점으로 하는 것은 인근 약국에 반품된 약품이 활용될 수 있도록 처방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자칫 재고약이 많아지면 보건소의 수용능력을 넘을 수가 있기 때문에 약국의 반품량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거점 교품 센터'를 정부가 받아들이려면 이를 공론화해 폭 넓은 동의가 있어야 한다.따라서 제대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대약의 역할이 중요하다.
새 집행부와 지부장 출마자들이 이구동성으로 재고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선 만큼 조속한 대안이 제시될 것으로 전망된다.
의약뉴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