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삭감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 운명은

복지부, 국회 통과되면 연내 설립 자신감...식약청도 의지 재확인

2011-02-26     의약뉴스 한성원 기자

보건 당국이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의 연내 설립 의지를 천명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청장 노연홍, 이하 식약청) 관계자는 “2월 임시국회에 관련 법안이 상정되지 못하더라도 지속적으로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 설립을 추진한다는 계획에는 변함이 없다”고 밝혔다.

보건복지부(장관 진수희, 이하 복지부) 관계자도 “지난해 국회에서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 설립 예산이 전액 삭감된 것은 맞지만 관련 법안의 국회 통과만 이뤄진다면 연내 설립에는 전혀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식약청은 지난해 의약품 부작용 보고 사례가 급증하면서 의약품 안전성 정보의 수집 및 수집된 정보의 분석·처리 업무를 전담할 조직 및 인력이 부족하다는 판단에 따라 법인 형태의 산하 조직인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 설립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말 국회에서 여야가 예산안을 놓고 충돌하면서 복지부가 요청한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 설립 예산이 전액 삭감된 데다 법안 상정마저 불투명해짐에 따라 연내 설립이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 섞인 전망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보건 당국은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 설립을 통해 의약품 부작용 보고 및 관리 체계가 확립되면 소비자에게 그만큼 안전한 약물을 제공할 수 있어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커질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약물 사용을 줄여 건강보험 재정과 환자들의 약값 부담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의약품안전정보관리원은 ▲의약품 부작용 등 안전정보의 체계적 수집, 분석·평가 및 제공 ▲의약품 DUR 정보의 생산·가공 및 제공 ▲부작용 피해구제 기금·보상금 등 사업관리 지원 등을 설립 목적으로 하고 있다.

조직 및 인력은 안전정보팀(26명), DUR팀(20명), 피해구제지원팀(8명), 시스템 유지·보수팀(6명) 등 총 4팀 60명이며 예산은 연간 약 7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추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