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BT 방치, 무역역조 불보듯"
산학연 "지원단, 연구소 절실"
2003-10-11 의약뉴스
세계적으로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바이오 산업을 위해서는 국가적인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BT제품화 지원에 관한 워크샵으로 열린 'Rounup BioKorea' 약의날 심포지움에 학계, 업게, 정부를 대표한 참석자들은 날로 팽창해 가고 있는 바이오 산업을 우리나라가 동참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인프라가 조속히 구축돼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주제발표를 한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한병현 박사는 BT 산업시장이 국내는 2002년 2조2천억원에서 2010년 9조원으로, 국외는 2008년 150조원 규모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그러나 우리의 생명공학 기술수준은 선진국을 100으로 보았을 때, 안전성 평가기준이 30정도로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어 상품화 지원에 병목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곧 생명공학의약품의 생산과정에서 각 제조단계별로 가이드라인과 시험자료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데, 정부는 과거의 일반화학제품 지원방식에서 벗어나지 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위한 해결방안으로 식약청에 '신제품 기술 안전성-유효성 평가지원단'을 설립하고 '생명공학지원연구소'를 만들어 전문인력으로 인프라를 구축하고, 업계의 제품화를 선도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제시했다.
한 박사가 이 분야의 국내 전문가 4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31.9%가 바이오 제품 개발촉진을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전문 지원기관 설립이 필요하다고 답해 가장 많았다.
또한 응답자의 75.4%가 전담 연구소가 기존기관 확대보다는 신설이 바람직하며, 74.4%가 2년 이내에 설립해야 한다고 답해 정부차원의 기술인력 확보와 지원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토론자로 참석한 제약협회 신석우 전무는 "바이오 제품을 발전시키려면, 돈, 사람, 인력이 필요하다. 우선 정부예산 5조5천억중 식약청은 0.7%, 복지부는 2.4%에 불과한 것이 문제다. 식약청인 국가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약청의 유무영 사무관은 "업계의 어려움을 통감하고 있다. 무엇보다 국 가적인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과제"라고 말했다.
한 참석자는 "지원단 논의는 정부내에서 예산 등의 이유로 이미 불가능하다는 판정이 내려진 상태여서 상당히 우려된다"며 "현재 업계는 지친 상태에서 개발을 포기하고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결정권 있는 정부부서가 이를 인식하지 못한 채 등한시한다면 바이오 제품의 무역역조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의약뉴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