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기종합정보센터 '어디까지' 왔나

식약청...법인화 위해 관련법 국회 제출 밝혀

2010-10-19     의약뉴스 김동설 기자
지난 2008년 식약청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모 의원은 “의료기기의 이력관리를 위해 의료기기종합정보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제기했다.

해당 의원은 “3조원대가 넘는 의료기기 시장은 영세한 업체가 많고 기기 종류도 많다보니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말하고 “영세한 업체가 리베이트를 통해 부적정 의료기기를 뒷거래할 경우 국민건강에 위해가 우려되고 있다”며 의료기기 이력관리와 유통실태 파악의 필요성을 강조했었다.

그로부터 2년여가 지난 지금, 의료기기종합정보센터는 잘 운영되고 있을까? 의약뉴스 취재결과 의료기기종합정보센터는 이미 12년 전인 지난 1998년부터 운영되어온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청 의료기기정책과 최지운 사무관은 19일 의약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의료기기종합정보센터의 규모가 작아 업계에서도 아직 모르는 이들이 많다”며 “2008년 국정감사에서 나온 의견은 센터 역할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말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최 사무관은 “지난 98년부터 산업기술시험원 내 정보기술지원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인허가 세미나, 정보지배포, 개방실험실 운영 등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고 말하고 “소규모이기 때문에 의료기기업체들의 이용이 많지 않으나 해외 전문가 회의 등 가용범위 내에서 활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규모로는 운영에 한계가 있어 기술지원센터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말하고 “의료기기법상에 정보기기지원센터 설립을 법인화 하기위해 관련 법안이 국회에 제출된 상태”라고 밝혔다.

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의료기기정보센터는 날개를 달게 된다.

최 사무관은 “법안이 통과되고 나면 별도의 법인을 설립해 의료기기 개발부터 허가까지 폭 넓은 지원이 이뤄진다”며 “시험․검사, 인증절차, 임상지원, GMP지원 등 전반적인 지원확대를 이루며 지원체계가 갖춰질 것”이라고 전했다.

의료기기정보센터는 국민건강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일이다. 식약청은 관련 법안을 이미 지난해 제출한 상태이나 법안처리는 거북이걸음을 하고 있다. 따라서 연내통과도 불분명한 상황, 국회의 조속한 처리가 요구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