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김용철 의사

2003-05-09     의약뉴스
서울의대 김용철 교수는 세계적으로 몇 안되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질환이나 외상에 의한 극심한 통증)에 대해 진단과 치료를 할 수 있는 통증 전문 의사다.

이는 1993년에 세계통증학회 권위자들이 모여 새롭게 이름을 붙인 병으로 의료인이라 할 지라도 최신 의학적 지식을 가지지 않은 사람은 생소한 질환이다.

김용철교수팀은 이 분야에서 권위적인 위치에 있는 서울대학교 통증클리닉에서 진료하고 있다.

-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어떤 질환입니까?

화끈거리는 통증, 이질통(종이나 붓 같은 물체에 피부가 닿아도 극심한 통증이 생김), 부종, 색깔 변화, 운동 제한, 근육 위축 등을 보이는 증상을 반사성 교감신경성 위축증(Reflex Sympathetic Dystrophy)이라고 하며 복합 부위 통증 증후군 1형(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type I)이라고도 합니다.

총상이나 교통사고로 인한 신경 손상에서도 화끈거리는 통증이나 이질감이 오는데 이를 작열통(causalgia)이라고 하며 복합부위통증증후군 2형( CRPS type II ) 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복합부위 통증증후군을 일으킬 수 있는 질환은 외상, 골절, 화상 등에 의한 신경손상, 환지통(절단 후에 생기는 통증), 척추 수술 후, 폐나 심장 복부 수술 후, 축농증 수술 후, 미용 성형 수술 후, 이를 뽑거나 치과 수술 후에 발생할 수 있고 대상포진 후 신경통, 뇌혈관 장애, 매독, 척수 손상 등에 의해서 생길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가 안될 때에는 근육의 위축, 관절장애를 일으킵니다.

- 대상포진과 신경통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수두 바이러스 감염으로 생기는 대상포진은 이후 완치가 거의 불가능한 극심한 통증이 동반되는 대상포진후 신경통이 유발되기 전에 적극적인 통증 치료를 통해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신경통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막으려면 어떤 처치가 필요할까요?

대상포진은 흔히 피부에 나타나는 증상 때문에 피부질환으로 잘못 알고 있어 적절한 치료 방법과 시기를 놓쳐 완치가 거의 불가능한 대상포진후 신경통으로 넘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대상포진후 신경통은 완치가 어려운 통증이 발생하고 따라서 이 시기로 악화되기 전에 적극적인 신경마취법 등으로 신경을 치료해야 합니다.

- 대상포진은 어떤 질환인가요?

대상포진은 수두 바이러스(마마)가 척수, 또는 신경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바이러스가 재생해 신경을 파괴해 통증을 일으키고 신경섬유를 따라 피부로 이동해 피부발진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증상으로 초기에는 감기걸린 듯한 피곤함이 있고 신경분포에 따른 피부발진이 나타납니다. 이상감각 또는 심하면 전기오는 듯한 날카로운 통증 등이 수반되며 닿기만해도 아프고 차거나 뜨거운 자극을 줬을 때 심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 대상포진 환자는 어느정도나 될까요?

이러한 대상포진은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남아있는 수두 바이러스로 인해 일반인들의 약 20%가 잠재적 대상포진 환자로 볼 수 있죠.

간혹 피부발진이 없이 대상포진후 신경통으로 악화되는 경우는 정확하게 대상포진으로 진단하지 못하는 경우가 흔합니다.

대부분의 환자들도 담결림이나 허리 부위에 발생했을때는 요추부 디스크로 진단해 잘못된 치료를 받는 경우가 있습니다.

- 대상포진의 진단과 치료에는 어떤 방법이 있습니까?

대상포진은 단순포진과 벌레 물린 것 등과 구별해서 진단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며 혈청검사(수두 바이러스 항체 측정), 근전도, 척수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발진 없이도 발생할 수가 있기 때문에 특정부위가 띠모양으로 통증이 나타나면 빨리 통증클리닉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대상포진의 치료는 대개 증상후 1-2주 이내에는 항바이러스제와 소염진통제로 피부치료를 하고 통증을 동반한 경우 다양한 신경마취술과 등으로 치료하는데 경막외 카테터를 삽입후 지속적으로 국소마취제를 투여하거나 때로는 신경병증성 통증을 치료하는 약제들을 증상에 따라 처방하면서 간헐적으로 스테로이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 대상포진후 신경통에는 어떤 처치를 하고 있나요?

대상포진후 신경통의 초기에는 고주파열응고술 등으로 교감신경차단술을 시행함으로써 효과를 볼 수 있고요, 대상포진후통증 발병 2개월 후에는 더욱 침습적인 신경차단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이 경우 과거에는 여러 가지 신경차단에 따른 합병증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박동성고주파열응고 장치가 도입되어 큰 합병증없이 통증을 효과적으로 치료하고 있습니다.

대상포진후 신경통은 빨리 치료를 시작할수록 치료 효과는 좋습니다. 치료시기가 늦을수록 더욱더 침습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되므로 가급적 대상포진 단계에서 치료하고 만약 대상포진후 신경통이 발생했다면 더욱 빨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대상포진 환자가 주의해야할 점을 당부하신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대상포진은 암, 결핵, 당뇨 등으로 몸의 면역력이 약해졌을 때 찾아 오기 때문에 건강한 몸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대상포진으로 진단 받았을 경우 종합검진 등을 통해 다른 질병은 없는지 꼭 확인해야 합니다.




이창민 기자(mpman@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