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기 분야도 종합정보센터 구축?

민주당 전혜숙...의료기 이력관리 위해 필요 강조

2008-10-10     의약뉴스 김도윤 기자
의료기기의 이력관리를 위해 의료기기종합정보센터의 구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민주당 전혜숙 의원은 9일, 식약청 국정감사 추가질의 시간을 통해 의료기기 이력관리와 유통실태 파악 필요성을 강조했다.

전 의원은 “3조원대가 넘는 의료기기 시장은 영세한 업체가 많고 기기 종류도 많다보니 이력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며 “영세한 업체가 리베이트를 통해 부적정 의료기기를 뒷거래할 경우 국민건강에 위해가 우려되고 있다”고 밝혔다.
   
▲ 전혜숙 의원이 자료를 들고 공세적인 질문을 펴고 있다.
이에 식약청 관계자는 “의료기기도 지난 해부터 GMP를 전면 의무화하고, 1~4등급으로 세분화해 위해도가 높은 품목부터 집중과 선택으로 관리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전 의원은 “심평원에서 의료기기를 제대로 관리하려고 해도 식약청에서 제대로 된 자료를 주지 않아 관리하기 힘든 점이 있다”며 의약품과 같이 심평원과 공조할 것을 강조했다.

의료기기 관리를 위해서 전 의원은 식약청이 의료기기 수입대상을 철저히 관리하고, 의료기기 관련법령을 구축하는 한편, 의료기기종합정보센터를 구축할 것을 주장했다.

이와 함께 전 의원은 식약청의 병용금기 관련 고시사항에 병용금기약을 경구제, 주사제 등 전신에 이상 작용을 나타내는 단일제로 제한해, 복합성분이 빠져 있어 이를 보완해 의약품 부작용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전 의원은 “새로운 약물정보가 쏟아져 나오지만, 식약청 고시가 이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식약청 고시를 전문가 외주용역 시행하는 등으로 수시로 신규 약물정보를 반영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