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이놀, 발작 환자에게 효과적
카페인과 메틸알콜 조합, 쥐 실험에서 성공적
2003-04-11 의약뉴스
앞선 연구에서 텍사스 휴스톤 의과 대학의 James C. Grotta 박사 연구진은 알콜과 카페인의 조합이 쥐 실험에서 발작의 정도를 감소시켜 뇌의 손상을 감소시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이 발견을 통해 이 두 가지의 조합이 인간의 발작의 영향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Stroke' 지에 실린 이 새로운 연구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의 발작을 가진 사람은 혈액 응고가 뇌로 가는 혈액의 흐름을 감소시키는 국소 빈혈 발작으로 고통 받았다. 이 소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카페이놀의 안전성을 평가했고 충분히 안전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Grotta 박사는 "우리의 목표는 동물 실험에서 성과를 얻은 카페이놀의 동일한 혈액 수치를 안전하게 얻을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우리는 동물 연구에서 사용한 양보다 더 작게 사용해야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Grotta 박사 연구진은 카페이놀 연구는 아직 초기 연구라고 전했다. 더 폭넓은 시험을 통해 카페이놀이 동물 실험에서와 같이 사람의 뇌도 동일하게 보호해 줄 수 있는지를 알아낼 수 있다.
연구진은 안전성 연구에서 다양한 양의 카페이놀을 6시간의 발작 징후가 있는 23명의 사람들에게 주입해서 평가했다. 이 약은 이 약 한가지만 투여하거나 더 충당해줘야 할 때 tPA라고 알려진 혈액응고 방지제와 함께 투여한다.
카이페놀과 tPA로 치료한 한 환자는 사망했으나, 이 죽음은 초기 발작이 심해서 사망한 것 같다고 Grotta 박사 연구진은 밝혔다.
두 명의 환자는 충혈성 심부전증이 투여 이틀 후에 나타났지만, 두 사람 다 심장 질환을 원래 가지고 있었던 사람이였다.
연구진은 "우리는 카페이놀이 심장 질환의 합병증을 직접적으로 야기시키는 것 같지는 않으나, 심장 리듬과 기능의 근본적인 이상 증상들을 악화시킬 수 있다. 근본적인 명확한 심장 질환을 가진 환자는 이 약의 연구에서 제외되어야 한다"고 경고했다.
연구진은 단 한명의 환자만이 약의 알콜 성분때문에 일시적인 중독 현상을 보였고, 카페이놀 단일제 혹은 tPA와 함께 사용해 안전하게 투약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현정 기자(snicky@newsmp.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