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엘 베타페론, '초기사용 효과' 더 커
위약과 비교 임상...다발성경화증 발병 지연시켜
2008-09-23 의약뉴스 이현정 기자
로이터에 따르면, 468명의 환자들이 포함된 5년간의 연구에서 처음 위약 치료와 비교해 봤을 때, 베타페론의 초기 사용은 확정된 다발성 경화증의 발병을 5년 동안 37% 혹은 45%까지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상 시험에서 한 그룹에게는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최초 징후가 나타났을 때 베타페론을 주었으며, 다른 그룹에게는 처음에 위약이 주어지고, 두 번째 징후가 발생하거나 증상이 나타난 2년 후 베타페론으로 치료제가 변경됐다.
이 연구를 이끈 마크 프리드맨 교수는 “일부 초기 신경 손상은 늦은 치료로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이번 연구는 최초 다발성 경화증 공격이 있은 후 시간을 소모해서는 안 된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또, “최고의 치료 방법은 예방이며, 이번 연구는 우리가 그렇게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고 덧붙였다.
더 많은 분석에서 초기에 치료가 실시된 환자들이 비교군에 비해 다발성 경화증이 진행됨에 따른 심각한 장애와 지각 기능의 손상이 덜한 것으로 조사됐다.
다발성 경화증은 진단이 어렵기 때문에 두 번째 증상이 있은 후에서야 치료제가 주어지는 경우가 잦다.
프리드맨 교수는 “이 연구 결과들은 다른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에도 적용되는 것 같다”고 전했다.
한편, 머크사는 지난 주 초 자사의 실험적인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 클래드리빈(cladribine)에 대한 새로운 후반 단계의 3상 임상 시험을 착수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머크사는 바이엘사의 베타페론, 자사의 레비프(Rebif), 테바사의 코팍손(Copaxone)과 같은 주사제와 시장을 공유할 세계 최초 경구용 다발성 경화증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바티스를 포함한 다른 제약사들과 경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