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바릭스, 자궁경부암이 발생 부위 항체 유도

2007-11-19     의약뉴스 최봉영 기자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바이러스 유형 2가지에 대해 후보백신이 유도한 항체들이 항체를 필요로 하는 곳, 즉 자궁경부에서 총 3회 중 첫 번째 접종을 실시한 지 2 년 후까지 발견되었다. 

이러한 새 연구결과는 베이징에서 개최된 국제 파필로마바이러스 컨퍼런스(International Papillomavirus Conference (IPC))에서 발표되었다. 

GSK 자궁경부암 후보백신은 가장 흔한 발암성 바이러스 유형 2가지—16형과18형—에 대한 항체를 유도하며, 이 항체들은 바이러스의 감염과 복제가 일어나는 부위—즉, 자궁경부—에서 검출되었다. 

혈류의 항체 수치와 자궁경부의 항체 수치 사이에 높은 연관성이, 15~55세의 여성들에서, 후보백신의 3회 접종 중 첫 번째 접종을 한 지 2년 후까지 관찰되었다.1

독일 뷔르츠부르그 대학병원 율리우스피탈 재단법인의 중앙연구소 책임자인 티노 슈왈츠 박사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HPV 유형들은 특히 까다로운 바이러스로, 자궁경부에서만 복제되어 면역체계로부터 교묘하게 빠져 나갈 수 있다. 이번 연구는 GSK 후보백신이 혈액에서 항체를 유도할 수 있으며 이 항체들이 자궁경부(바이러스 감염이 일어나고 자궁경부암으로 진행되는 곳이자 가장 예방이 필요한 부위)까지 도달할 수 있음을 보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GSK 바이올로지컬스 HPV 학술부 부사장인 휴 보가트 박사는 “GSK 후보백신에 의해 유도된 혈류의 항체 및 자궁경부에 도달할 수 있는 항체 간의 높은 연관성은, 이 후보백신에 의해 유도된 면역반응의 질과, 또한 이 후보백신이 어떻게 발암성 바이러스 유형의 예방에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추가 정보를 제공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기존 연구자료에 따르면 백신에 의해 유도된 혈류의 항체 수치는 24개월째에 이르러 안정되고 적어도 5년 동안 지속되는데, 이렇게 혈류의 항체 수치가 안정되는 시점인 24개월째에 자궁경부에서 항체가 검출되었으므로, 우리는 혈류의 항체 수치와 자궁경부의 항체 수치간의 높은 연관성이 앞으로도 유지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결론 내렸다.

GSK 자궁경부암 후보백신은 혁신적인 항원보강제 기술 AS04를 사용해 제조된다. 

AS04는 자궁경부암을 일으키는 인유두종바이러스(HPV)에 대한 면역반응을 강화하도록 특별하게 고안, 채택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