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조사 당혹, 적절한 대응책 착수

해당 5사...법무팀과 대책 강구 후속책 마련

2007-11-02     의약뉴스 박영란 기자

“당혹스럽다. 검찰조사 입장과 관련해 할 말이 없다.” (동아제약 관계자)

“검찰조사와 관련한 입장을 밝히긴 곤란하다. 추후 검찰조사 향방을 지켜보며, 회사 내 법무팀과 대책을 강구할 것이다.” (한미약품 관계자)

“검찰 조사한다는 내용이 오늘 발표됐다. 추후에 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다.” (유한양행 관계자)

“이번 공정위 조사로 인해 투명한 의약품 거래질서가 확립되는 기회가 될 것이다.” (녹십자 관계자)

“(제약 산업이 처한 어려운 환경을 고려하여) 선처를 바란다.” (중외제약 관계자)

1일 공정거래위원회의 5개 제약사 검찰조사 발표를 전해들은 해당제약사들은 대체로 당혹감이 역력한 가운데, 향후 차분한 대응책을 마련할 뜻을 밝혔다.

이들 제약사들은 과징금이 당초 생각보다 적게 나온 것에 대해 일단 안도하는 분위기다. 해당 제약사들은 변호사 고용 등 적절한 조치의 결과로 파악하면서 검찰 대응도 이처럼 철저히 준비하면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공정위 관계자는 과징금규모가 발표된 직후 전화통화에서 “공정위법에 의거, 이번에 발표한 10개 제약사 중 매출액이 높은 기업을 기준으로 삼았다. 또한 법 위반 강도도 포함됐다”고 이유를 들었다.

특히 “이들 5개사 중 일부 제약사들은 과거에(90년대) 과징금을 부과하고 시정명령을 내렸지만, 여전히 리베이트 관행이 이어져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의결서가 나오면 바로 검찰에 고발할 예정”이라며 “검찰조사결과에 따라선 뇌물수재죄 등 형사법에 의거, 벌금이나 다른 처벌을 받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추후 조사결과가 발표될 7개 제약사 중 검찰고발이 포함 되느냐는 질문에는 “밝힐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에 앞서 김병배 공정위 부위원장은 1일 “이번 17개 제약사 조사에서 공정위가 강제조사권이 없어, 제약사들이 조사를 거부하거나, 자료를 은폐하기도 했다”면서 “추후 검찰의 철저한 조사가 진행되면 배임수뢰죄 등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