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뢰받는 건강보험을 위해
정창희 종로구생활체육협의회 회장
건강보험제도는 사회적 위험으로부터 국민을 보호하고 빈곤을 해소하며 국민생활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보장제도의 하나로서 우리나라에 500인 이상 직장을 대상으로 건강보험이 처음 실시된 1977년 7월부터 전국의료보험이 시행되기 전 까지만 해도 의료보험증을 갖고 있는 세대는 부러움의 대상이 되어 너도 나도 가입 하려고 노력하던 시절이 있었다.
이 시기에는 국민들의 병·의원 접근 문턱이 높았기 때문에 더욱 그러 하였던 것 같다. 그러나 1989년 전국민 의료보험이 시작되면서 국민들의 병·의원 접근 문턱이 낮아져 큰 부담없이 병·의원 을 이용하게 되어 건강보험은 국민건강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여 사랑받는 건강보험 제도가 되었었다.
최근에는 우리나라가 점점 잘 사는 국가로 발전하여 의료욕구가 높아져 건강보험이 부담해 주는 비용이 너무 낮다고 국민 불만이 가중되고 한편에서는 건강보험제도가 진료비 할인제도라는 비난까지 나올 정도로 제도에 대한 신뢰가 떨어져 있다.
정부에서는 최근 몇 년 동안 암환자에 대한 본인부담 경감, MRI의 보험적용 실시, 6세미만 어린이 입원시 본인부담 면제, 입원환자 식대의 보험적용 등 보험 적용 혜택을 꾸준히 높이고 있지만 피부로 크게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
국민들의 신뢰를 얻기 위해서는 중병에 걸렸을 때 큰 부담 없이 진료를 받을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어야 하는데 정부의 재정 지원도 여의치 않고, 늘어나는 의료수요를 감당하기에는 현재와 같이 적게 내고 적게 보장 받는 시스템으로는 한계가 있을 것이다.
OECD 선진국의 경우는 소득에 비례하여 8.5%~ 14%의 보험료를 납부하여 진료비의 70%~90%의 보험 적용을 받는다고 하는데 우리나라는 소득비례 4.77%의 보험료를 납부하여 진료비의 약 61%를 보험적용 받는다고 한다. 낮은 보험료에 비해 높은 보험적용을 받는다고 할 수 있지만 요구기대 수준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건강보험 보험적용율을 “저부담 - 저급여“ 시스템으로 할 것인가 ”적정부담 - 적정급여“ 시스템으로 할 것인가는 서로 장단점이 있다.
돈이 없어 큰 병에 걸려도 병원을 이용하지 못하는 사람이 없도록 또 병원비 때문에 중산층이 하류층으로 전락하는 일이 없도록 그리고 병든 사람이 필요한 서비스를 충분하게 받을 수 있도록 우리나라도 선진 OECD 국가처럼 적정한 보험료를 부담하고 보험적용율을 높여가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정부에서는 내실있는 건강보험이 되기 위하여 “적정부담-적정급여” 체계로 이행하는 과정의 일환으로 사회적 공감대를 얻을 수 있도록 국민들의 이해를 구해 동참을 요구하고, 관리자인 건강보험공단은 관리운영비의 절감, 보험재정 누수방지, 질병예방사업, 약가 적정화 관리 를 통한 급여비 지출 억제 등 각고의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이며, 정부는 적정한 국고지원 등의 노력으로 국민의 부담을 최대한 줄여서 국민들의 사랑을 받는 건강보험으로 다시 태어나게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