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비용ㆍ지불법 ㆍ약제비총액 예측 가능해야

공단, ‘한국 건강보장 30년의 성과와 평가 '토론회 열어

2007-09-05     의약뉴스 김선아 기자
국민건강보험공단(이사장 이재용)은 한국건강보험 제도도입 30주년을 기념해 오늘 오전 9시부터 ‘한국 건강보장의 비전과 전망’이라는 주제로 공단 대강당에서 ‘건강보장 30주년 기념 국내 학술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번 심포지엄은 한국 건강보장의 현실을 진단하고 향후 차세대 국민건강보험의 새로운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논의의 장으로, 한국 건강보장 30년의 성과와 평가에 관한 주제 및 토론이 이뤄졌다.

이날 토론에서 국민건강보험공단 이평수 재무상임이사는 “건강보험의 내실보다는 양적인 확대를 위한 강제적 가입·지정으로 인해 결국 이용자와 공급자간의 불만을 야기하게 됐다”며 “보장성·재원 등에 있어서 사회적 합의 있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이용과 공급을 적정화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모색의 필요성에 대해 주장했다.

이 이사는 “현재 공급을 통제할 수 있는 방안이 없는 상황에서 보험재정 관리 어렵다”면서 “공급에 대한 비용과 지불방법에 대한 수준, 나아가서는 약제비에 대한 총액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울산의대 예방의학교실 이상일 교수는 “그동안은 건강보험 도입 이후 적용대상 확충, 공급기관 확충하는 ‘확충의 시기’였다”며 “이후에는 ‘평가와 책임’을 묻는 시기가 돼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와 함께 건강보험 형평성에 관한 논의가 부족하다고 지적하고 “건강보험이 의료제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녹색소비자연대 조윤미 상임의원은 “그동안의 건강보험 확장·인프라 구축 등 사회적 기능·역할 등은 긍정적인 평가를 받아야 한다”면서도 “건강보험 보장성은 늘어가지만 실제로 지불하고 있는 사람들의 부담은 별 차이가 없어 환자들의 불만 커지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소비자요구의 변화에 따른 제도 및 환경에 대한 변화가 필요하다”면서 “급속한 의료기술의 변화를 제도권 안에서 담아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조 의원은 “이를 위해 소비자들이 어느 정도의 비용부담을 하고 있는가에 대해 정확한 파악할 수 있는 기전 마련의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김연명 교수 또한 “단기간 내에 국민건강보험이 국민 모두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자랑할 만한 성과”라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의료보험통합에 대한 객관적 평가와 논의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김 교수는 “공급자 경쟁을 하기 위해 정보의 대칭성 확보 등의 전제조건이 마련돼야한다”면서 “이를 위해 합리적 규제 필요하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