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사회, 이제 반품 정산에 신경 쓸 때
쥴릭사태 마무리 단계...회원들 빠른 정산 요구
2007-07-02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특히 대한약사회의 반품사업은 지난해 경기도약사회의 반품사업이 마무리 되지 않고 있어 경기도 지역에서는 복잡한 문제가 되고 있다.
경기도의 한 약사는 “돈 들어오는 것 보다 돈이 새 나가지 않는 것에 신경을 더 쓴다”며 “월말도 되고 돈 나갈 데가 많으면 지난해에 경기도로 반품한 약이 생각난다”고 말했다.
그는 “경기도로 약을 준지는 1년이 돼가지만 아직 아무런 언질도 못 받고 있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그는 심지어 외상값처럼 반품한지 오래되면 약값도 보상 안 해도 되는 건지 의심이 들기도 한다는 것이다.
“올해 새로 들어선 집행부가 초기에는 반품 보상에 관심을 보이더니 지금은 그마저도 볼 수 없다”며 답답해하는 그는 “100원에 핏대를 올리고, 100원 동전하나 때문에 미지근한 박카스를 파는 약사들의 마음을 살펴 달라”고 호소했다.
지난해 상반기에 반품사업을 실시했던 경기도약사회의 반품 정산율은 매우 낮은 수준이어서 대약의 반품사업과 맞물릴 경우 회원들의 불만이 더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경기도의 한 분회장은 “제약사가 처리에 늦장을 부리고 있다”며 “대약차원에서라도 제약업계에 압력을 넣어 빨리 처리되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경기도약사회는 대약과의 연계에 부정적인 입장인 것으로 전해졌다.
대한약사회는 이미 지난 5월 23일 시·도지부장회의에서 향정신성의약품을 포함한 개봉 불용재고의약품을 반품하기로 결정했었다.
2007년도 회원 신상신고를 필하고 반품목록을 작성한 회원에 한해 추진되는 올해 반품사업은 직거래 의약품은 제약회사로, 도매거래 의약품은 거래도매상을 통해 반품하게 된다.
반품 정산은 실제 제약회사나 도매상에서 구입한 가격으로 정산한다. 이를 위해 대약은 제약회사와 도매상의 협조약속을 받고 지부와 분회는 ‘지역별 반품협의체’를 구성한다는 방침이었다. 하지만 계속되는 도매업계의 현안으로 진척이 되지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