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노피 '란투스', TZD보다 유리 지방산 저하 탁월
메트포민과 설포닐우레아를 단독 또는 병용하여 복용하는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란투스(성분명: insulin glargine)를 추가하는 것이, 피오글리타존이나 로시글리타존을 추가하는 것보다 유리 지방산 수치를 낮추는 데 더 효과적이거나 최소한 동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두 편의 직접비교시험(head-to-head studies) 을 통해 입증된 것으로 제67회 미국당뇨병학회에서 발표되었다. 란투스는 사노피-아벤티스의 지속형 인슐린으로 1일 1회 투여하는 제제이다.
유리 지방산은 지방 분해 중에 혈류에 방출되는 물질로, 고농도의 유리 지방산은 인슐린 저항성을 포함한 여러가지 심각한 합병증과 연관이 있다. 당뇨병 환자들의 경우 유리지방산 수준이 높아져 있으며, 이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당뇨병 치료의 중요한 요소이다.
이번 학회에서 발표된 두 편의 연구 결과 중 하나는 메트포민이나 설포닐우레아로 혈당 조절이 안 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란투스 또는 피오글리타존을 추가한 후 유리 지방산의 감소 정도를 비교하였다.
24주 후 란투스군의 경우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0.19mmol/L 감소한 데 비해 피오글리타존은 0.13mmol/L 감소하였다(p=0.03). 또한 48주 후에는 란투스가 0.23mmol/L, 피오글리타존은 0.15mmol/L 로 란투스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1).
이 연구의 책임자인 워싱턴 의과대학 조교수이자 당뇨병 예방 및 조절 연구소의 책임자인 자넷 맥길(Janet McGill) 박사는 “의사와 환자들은 목표 혈당이 메트포민이나 설포닐우레아로 도달 되지 않으면 다음 치료 단계에서 약제 선택의 어려움을 겪는다”고 말하며, “지금은 로시글리타존, 피오글리타존과 란투스가 대사 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이해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으로, 이번 연구 결과는 매우 시사하는 바가 크다” 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