쥴릭 사태, 복지부 개입 해결 급물살

잇따른 간담회 통해 강한 입장 전달

2007-06-20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쥴릭 파마와 협력도매업체의 재계약 문제로 인한 파장이 커지면서 보건복지부가 개입할 준비를 하고 있다.

20일 복지부 관계자에 따르면 복지부는 최종소비자인 국민이 피해를 입지 않도록 외자사의 책임 있는 대책을 요구할 방침이다.

이 관계자는 “(쥴릭파마가 독점 공급하던 의약품의) 공급 상황을 계속 파악하고 있다”며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되면 국민이 피해를 입을 우려가 있고 그런 상황을 막기 위해 외자사에게 대책을 강하게 요구했다”고 밝혔다.

만약 국민이 피해를 입는 상황이 발생하면 그에 대한 법률적 책임을 져야한다는 것이 복지부의 입장이다.

이 때문에 복지부는 약사법을 비롯한 법률적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 이런 복지부의 입장은 지난 15일 외자사와 대한약사회, 복지부가 함께한 간담회에서 전달했다.

대한약사회가 제안해 열린 지난 간담회에서는 대약과 복지부의 이런 우려가 전달되는 정도에 그쳤다. 하지만 오늘(20일) 오후 2시에 열릴 2차 간담회에서는 복지부가 이런 입장을 보다 더 강하게 전달하고 그 책임을 강조할 예정이다.

외자사는 아직 별다른 반응을 보이고 있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대약과 복지부가 어떻게 대응하느냐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대약은 쥴릭파마 독점공급의약품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는다면 대체조제를 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다. 이날 간담회에 참석할 예정인 한국의약품도매협회는 의약품 수급과 쥴릭파마의 독점공급으로 인한 문제를 제기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지난 15일 열린 간담회에서 대약은 쥴릭을 통해 공급되는 13개 제약사의 제품이 품절되는 등 의약품 공급의 대란이 예상되고 있다며 이에 대해 해당 제약사가 모든 책임을 지고 대책을 마련해 줄 것을 강조했었다.

이를 위해 제품 공급을 희망하는 모든 약국에 즉시 해당 의약품을 공급해 줄 것과 향후 직거래를 희망하는 모든 약국에 직거래를 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마련해 달라고 요청했다.

특히 이 같은 사태가 재발되지 않도록 13개 제약사는 자사제품 공급선을 다변화하고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외자사들은 답변을 오늘 열리는 2차 간담회에서 밝히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