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약 슈퍼판매 대세론의 새로운 대안은?

약사회 수용...전문약을 일반약으로 재분류 방향 틀어야

2007-06-08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일반약 약국외판매’를 두고 약사사회가 안팎으로 크게 흔들리고 있다. 특히 서울시약사회는 이와 관련 ‘시민단체의 대기업 유통업체 유착설’을 제기해 문제를 확대시키고 잇다.

하지만 ‘일반약 약국외판매’는 대세라는 분위기가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제는 보다 실리를 챙길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개국가에서 나오고 있다.

경실련이 회피용이라고 지적하고 있는 대한약사회가 제시한 ‘24시간약국’과 ‘당번약국의무화’가 힘을 얻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같은 대세론 때문이다. 대세론을 꺽기 보다는 실리를 챙길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서울시약사회가 4일 발표한 성명서도 이러한 인식을 담고 있다. ‘일반약 약국외판매’의 선행과제로 일반약 확대를 촉구하고 나선 것이다. 즉 일반약이 확대되면 일반약 약국외판매가 수용가능하다는 의미가 된다.

‘안정성 있는 전문약 일반약 재분류’는 그동안 약사회에서 계속 제기한 문제지만 그다지 힘이 실리지 않았다. 그러나 일반약 약국외판매가 본격화 되면 중요한 쟁점이 될 전망이다.

대약에서는 아직 일반약 약국외판매를 대세로 표면화하지 않아 전문약 재분류에 초점을 맞추기는 힘든 상황이다. 이 때문에 차라리 대약이 이를 수용하고 ‘안정성 있는 전문약의 일반약 재분류’로 방향을 잡아가는 것이 현실성 있는 정책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일반약은 ‘난매’라는 가격경쟁과 ‘일반약 판매 활성화’가 약물남용을 부추긴다는 부정적인 여론이 있어 새로운 접근법이 함께 제시돼야 한다는 요구도 있다.

한편 원희목 대약회장은 지난 해 선거에서 ‘전문약과 일반약’이라는 분류를 ‘처방약과 비처방약’이라는 분류로 다시 나눌 것을 제안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