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약, 제약사에 강한 경고
약가인상ㆍ일반약 슈퍼판매 묵과 못해
최근 서울시약사회의 행보가 심상치 않다.
특히 4일에는 제약사의 약가 인상과 일반약 약국외 판매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발표했다. 이는 대외적이고 정책적인 사안에 대한 서울시약사회의 폭넓은 활동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서울시약은 지난 1일 제5차 상임이사회에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해 약국외 판매처에 대한 단속과 판매저지를 위해 적극 대응키로 했다고 발표했다. 또 제약사의 일방적인 약가 인상에 대해 조사하고 이에 대한 적극적인 대책을 강구하기로 했다.
이어 4일 오후에는 일반약 약국외판매에 대한 강경한 반대 입장을 밝히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보건복지부에 일부 전문약의 일반약 재분류와 시민단체에 대한 의혹을 제기했다.
특히 일반약 약국외판매를 주장해온 시민단체에 대해 “국민건강에 관한 주요정책을 깊은 연구나 노력 없이 언론을 이용한 여론몰이 하는 행태에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고 비난했다.
더 나아가 “대기업 유통업체와의 유착관계를 밝히라”고 요구해 이후 큰 파장을 예고하고 있다. 서울시약의 이러한 행보에 대해 서울시약 관계자는 “대한약사회를 지원하는 것”이라며 위상에 문제가 없음을 강조했다.
하지만 서울시약의 대한약사회가 조용한 가운데 나온 행동이어서 자칫 약사회 전체의 정책에 혼선을 줄 뿐만 아니라 역풍을 초래할 수도 있다는 주장이 조심스럽게 흘러나오고 있다.
경실련으로 추정되는 시민단체의 대기업 유착 주장은 확보된 근거 없이 ‘의혹’ 수준에서 제기돼 경실련과의 소모적인 갈등을 만들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시민들에게 ‘이전투구도 불사하는 이익집단’이라는 인상을 줄 우려도 있다.
제약사의 일반약 약가인상에 대한 대응도 강한 반발이 예상된다. 약가결정권이 제약사에 있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기 때문에 ‘일방적’이라는 접근법에 의문이 제기되는 것이다. 이는 약사회가 과도하게 시장 질서를 장악하려한다는 우려를 낳고 있다.
서울시약사회의 이러한 독자적인 대외적 행보는 대약과 정책적 방향성이 어긋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해 이후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