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매업계 전자상거래 위기감 고조
도협, 정보화위원회 설립 적극 대응 모색
의약품유통 전자상거래에 대한 정부의 추진의지가 높아지자 도매업계가 우려하고 있다.
한국의약품도매협회는 18일 부산 한화리조트에서 2차 확대이사회를 열었다. '전자상거래 추진상황'이 이날 정책보고 안건 중의 하나로 진행됐다.
이 때 한 임원이 "전자상거래로 대기업이 의약품유통업을 장악할 수 있다"며 강한 우려를 나타냈다. 물류기반시설 없이 인터넷으로만으로도 의약품유통을 할 수 있어 현재의 업체들에게 큰 타격을 준다는 것이다.
또 한 임원은 "병협은 이미 2002년에 병원과 관련된 전자상거래에 대한 연구용역을 정부의 지원을 받아 마쳤다"며 "KT가 EDI 수수료에서 상한 수익을 얻고 의약품전자상거래 분야까지 진출하려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의료기기와 의료관련 용품의 판매, 전자상거래 등을 주업종으로 사업하고 있는 특정업체가 전자상거래에 대한 주도권을 장악하려한다"는 의혹도 제기했다.
의약품도매업계의 이러한 우려는 전자상거래가 현재 업체들의 투자와 경영성과를 상당부분 무력화시킬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우려와 문제제기, 관심에 대해 황치엽회장은 "그동안 도매업계가 정보화부분을 소홀히 한 것은 사실이다"며 "도협에 정보화위원회를 설립해 적극 대응하려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날 남평오 상근이사가 보고한 전자상거래 관련 내용에서 전자상거래가 ▲ 구매력을 활용해 싸게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는 원가절감 효과 ▲ 온라인 실시간 거래로 인한 투명성 확보와 헝위거래 원천 차단 ▲ 공급사의 재고부담과 마케팅원가 절감 등의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전자상거래로 공동구매와 전자입찰, 역경매와 즉시구매, 구매대행과 재고관리, 거래내역 전산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