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제약사 처리 CP 도입과 상관없다"

유희상...반성문 쓴 사람과 안쓴 사람 차이일뿐

2007-05-07     의약뉴스 박영란 기자

공정거래위원회의 리베이트 조사 발표를 앞두고 제약업계는 그야말로 ‘태풍전야’에 휩싸여 있다.

공정위는 지난해 10월부터 시작해 최근까지 10여개 제약사에 대한 리베이트 조사를 마쳤다.

국내 제약회사는 병원이나 대형도매상과의 리베이트 수수 등에 대해, 다국적 제약사의 경우에는 병원, 학회지원 등 로비활동에 대한 조사가 강도 높게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공정위 유희상 단장은 7일 의약뉴스와 전화 인터뷰에서  “현재 조사 자료를 읽어 보고 결과를 분석하고 있다. 조사발표는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조사발표가 늦어지는 것과 관련해 일각에서는 제약사 제재 수위를 저울질하는 게 아니냐는 시각도 있다. 결과에 따른 파장이 큰 만큼, 공정위가 처벌 수위에 있어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고 있다는 것.

여기에다 제약업계가 공정위 조사결과 발표시점에 발맞춰 오는 9일 공정거래 자율준수 프로그램(CP)을 도입함에 따라, 공정위의 제재 수위 결정에 대한 고민도 더욱 깊어질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협회는 이날 자정활동을 통한 투명성 제고를 위해 권오승 공정거래위원장을 초청, 제약업계의 공정거래 자율준수 의지를 천명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해 유 단장은 “CP도입에 따라 리베이트 수수 제약사의 처벌수위를 낮추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CP도입과 관계없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다. 그것은 반성문 쓴 사람과 안 쓴 사람의 차이일 뿐”이라며 원칙적인 입장을 되풀이했다.

한편 업계에 따르면 과징금 규모는 업체당 수십 억 원에 이를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해당 제약사의 영업이익 타격은 물론 이미지 실추 등 공정위 조사결과발표에 따른 후폭풍이 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