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용 재고약 반품 사업

2007-01-01     의약뉴스

의약분업 제도가 성분명 처방이 아닌 상품명 처방 방식이기에 제약회사의 의사와 약사에 대한 차별 대우는 극에 달한 상태다.

 현금 결제를 안 하면 약품 공급을 안 하고, 거래상 관계로 담당직원을 약국으로 불러도 전처럼 즉시 달려오는 법이 없다.

 이런 현실을 감안해 반품 사업은 대한약사회가 주도하여 전국의  시. 도지부가 단체로 추진했다.

 제약회사에 ‘단 한 번만 하겠다’는 약속을 하고 전개한 대한약사회의 1차 반품 사업에서 당시의 대한약사회를 비롯한 시. 도지부 집행부는 엄청난 고생을 하고도 반품 보상가격, 약품 숫자, 비협조 제약회사 등 문제로 회원들로부터 곤혹을 치렀다.

 반품 결과에 실망한 어느 회원은 ‘다음부터는 약국에 와서 내가 보는 앞에서 숫자를 센 후 가져가고, 반품이 안 된 약품은 직접 가져와 내 앞에서 다시 숫자를 확인해 달라’고 주문했다.

 2차 반품사업은 ‘반품을 1회로 한정 하겠다’는 제약회사와의 약속을 어기고 대한약사회 새 집행부가 힘들게 추진한 사업이다.

 대한약사회는 2차 반품사업에 참여하라는 공문을 수차례 발송했지만 30% 가량의 회원들만 참여했다. 불참한 나머지 회원들은 반품할 약이 없거나 관심이 없다고 여길 수밖에 없다.

 2차 반품에 불참한 모 회원이 인천시약사회 만의 반품을 추진하라고 한다. 지금까지 대한약사회를 앞세운 전국적인 반품 결과에 비추어 회원 수 8백 여 명에 불과한 인천시약사회 만의 사업을 따로 추진하기는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또한 지부는 단독 행동을 하기보다 우선 대한약사회 정책을 적극 따라야 한다.

 간혹, 회원 수 2천 명 이상인 지부가 단독으로 반품을 추진할 때마다 ‘단합을 해도 힘든 사업인데 특정 지부장의 인기를 상승시키기 위해 개인행동을 해도 되느냐?’며 시. 도지부장 회의 시 언쟁을 벌여 분위기를 냉랭하게 만들곤 했다. 제약회사도 반품 약품에 대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없는 한 경영에 어려움이 있다.

 대한약사회는 불용 재고약 해결을 위해 과천 정부종합청사와 국회 정문 앞에서 1인 릴레이 시위를 시작해 인천지부에서도 상임이사와 각 분회장들이 추위를 무릅쓰고 참여한 바 있다.

 또한 국회의원회관 1층 소회의실에서 한나라당 문 희 국회의원실 주최로‘불용 재고 약 발생 및 환경오염 해결을 위한 토론회’를 개최해 ‘소포장 생산 제도’를 정치적으로 이끌어 내도록 유도했다.

 이런 행사 때마다 많은 회원들이 참석해야 정부와 국회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보일 텐데 약국을 비울 수 없는 현실 때문에 참여율은 저조할 수밖에 없었다.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 한 불용 재고약은 날이 갈수록 약국에 쌓이게 마련이다. 그렇다고 2년이 소요되는 반품 사업을 해마다 전개할 수도 없다. 30정 소포장 생산 - 어느 날 갑자기 처방이 바뀌더라도 재고량에 큰 부담이 없는 소포장이다.

 지부 단위의 불용 재고약 해결책은 인천시약사회가 시행하고 있는 교품몰 거래가 최선이다. 모 도매상과 제약회사가 불용 재고약을 변상해 준다고 해 그 내용을 알아보니 그에 상응하는 거래 조건을 내세웠다. 세상에 공짜는 없었다.

 의약분업 이후 제약회사의 약국에 대한 부당한 처우를 항의하는 회원들의 민원 전화를 받을 때마다 성분명 처방이 간절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