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목 3년 자체평가 성과물은 약대6년제 뿐
72개 과제 대부분 공약 미달이나 진행중
재선을 노리는 원희목 대한약사회장이 3년간 수행한 회무 성적은 낙제점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이같은 사실은 원회장이 지난 13일 ‘후원의 날’을 열고 방문한 사람들에게 전달한 ‘72개의 공약과 또 다른 과제들’이라는 자신의 회무를 정리한 책자를 통해 확인됐다.
책자에 따르면 대부분의 공약이 실현되지 않았거나 가시적인 성과를 내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약대 6년제 실현에 현 집행부가 집중하면서 다른 사안을 챙기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자료의 ‘약사전문성 강화를 통한 사회적 위상 제고’ 분야에는 ▲ 약대 6년제 조기실현 ▲ 공중파 및 일간지 약사 상담 코너 신설 ▲ 인터넷을 통한 홍보시스템 구축 ▲ 약국내 무자격자 약사행위 근절 ▲ 약사 양호교사 제도 실현 ▲ 공중보건 약사제도 도입 ▲ 약국내 전산원 및 종업원 업무 지침 마련 등의 내용이 들어있다.
이 가운데 원회장이 스스로 인정한성과는 약대 6년제뿐이다.
이 외에도 제대로 추진하지 못했거나 성과가 미미한 것으로 밝히고 있는 것은 무려 42개 사안에 달하고 있다. 이는 주요 사안의 대부분을 포함하고 있어 성과적인 면에서 미흡하다는 것을 인정하고 있는 셈이다.
이 결과는 원회장 자신이 밝히듯이 약사의 정체성과 전문성 확보를 위해 약대 6년제가 가장 중요한 사안이라고 설정하고 이른바 ‘올인’한 결과로 분석할 수 있다. 그만큼 중요한 사안이고 미룰 수 없는 시기였다는 것.
이같은 회무 미이행에 대해 원회장은 자신이 재선을 해야 하는 이유라고 설명하고 있다.
다시말해 회무가 ‘진행 중’이거나 ‘성과가 나오기 시작하는 중’이라며 자신이 그 마무리를 하기 위해 다시 출마한다는 것.
원회장의 이같은 실적미미와 이를 연관한 재선 배경에 대해 약사회원들이 어떤 평가를 내릴지 그 시점이 다가오고 있다. ‘구관이 명관’이 될지 ‘새 술은 새 부대엷가 될지 귀추가 주목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