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일원화 해법 의약품 - 식품처방 '극과극'

경쟁력 확보 VS 타부서 경쟁 부담 견해 달라

2006-10-23     의약뉴스 박주호 기자

식품안전처 신설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식품일원화의 연내 추진이 가시화되면서, 식약청의 내부 분위기가 미묘하게 엇갈리고 있다.

의약품 관련 부서의 경우 대체적으로 복지로의 흡수 통합을 반기고 있는 반면, 식품 관련 부서는 통합에 따른 후폭풍 등을 고려, 이에 대해 우려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

특히 연구직 파트는 나름대로 경쟁력을 확보, 이를 통한 위상 변화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반해, 행정 파트의 경우 일부 업무에서의 중복으로 야기될 수 있는 입지 변화에 적잖이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식약청 한 관계자는 “식품안전처 신설에 따른 식약청 폐지를 앞두고 의약품 부서의 경우 일부 행정파트를 제외한 대부분의 연구직 직원의 경우 흡수 통합에 따른 위상강화와 업무 분담 등을 고려, 대체적으로 환영하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이어 “하지만, 식품 관련 부서의 경우 8개 부처에 흩어져 있던 식품관련 부서의 통합 과정에서 특히 식품관련 행정 파트가 자체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면서 일부 직원의 경우 향후 입지에 불안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식품 관련 부서의 경우 식품일원화 추진에 따른 경쟁체제 돌입으로 타부처 비슷한 부서와의 경쟁이 불가피해지는 반면, 의약품 부서는 복지부 흡수통합 이후에도 나름대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전제에 따른 것.

실제로 농림부, 산자부 등 대부분의 식품 관련 행정 담당 부서의 경우 대부분 행정고시 출신이 다수를 이루고 있는 반면, 식약청의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가 상당수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심지어 식품 부서 행정직 가운데는 고졸 출신 인사도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실제 식품안전처 신설 이후 조직개편 과정에서 식약청 출신들이 과연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것. 경우에 따라서는 식약청 출신 인사의 일부 배제까지도 점쳐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식약청의 또 다른 관계자는 “정부 부처 내에서 식약청, 특히 행정파트의 경쟁력이 타부서에 비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면서 “이에 식품안전처로의 통합 과정에서 식약청 출신들이 다른 부처 출신들과의 무한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지는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분위기를 전했다.
 
이와 함께 식품 관련 부서의 경우 이번 국무총리실 산하 식품안전처 신설이 자칫 업무량 증가로 이어질 수 있는 점도 식품 부서의 부담이 되고 있다는 전망이다.  

이에 반해 의약품 관련 부서는 복지부의 흡수 통합 이후 큰 변화가 없을 것으로 인식하면서, 오히려 일부 업무에 대해서는 위상 강화라는 부수적 이익까지 기대하고 있는 분위기다.

이와 관련 식약청 의약품 부서 관계자는 “의약품 부서의 경우 결제 라인 증가 등 업무 효율성에서 일부 문제가 제기되고 있을 뿐 대체적으로 이번 복지부로의 흡수 통합에 손해 볼 것 없다는 분위기”라며 “특히 자체 독립성을 확보하고 있는 의약품 심사·평가 부서의 경우 위상 강화에 따른 증원 등까지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식약청 관계자는 “최근 식약청 폐지라는 큰 변화를 앞두고 직원들이 동요하지 않도록 하는데 주력하고 있다”면서 “식품이나 의약품이나 분리 이후 현재 조직을 그대로 유지한다는 원칙인 만큼, 대대적인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