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사 생동성 피해 정부 책임 매우 크다

2006-10-22     의약뉴스

생동성 조작 파문으로 인한 제약업계의 피해가 눈덩이 처럼 불어나고  있다. 

제약협회가 최근 집계한 피해 규모는 무려  연평균 2,660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됐다. 참으로 엄청난 규모가 아닐 수 없다.  

산술적 금액을 제외한 국내 제네닉에 대한 국민 신뢰 등 비경제적인 손실까지 감안하면 국내 제약산업의 존립마져 위협받게 되는 상황인 것이다. 이 피해를 고스란히 제약사들이 떠 안고 있다.

이 뿐만이 아니다.  한·미 FTA 추진과정에서 우리측 요구사항 중 하나인 ‘제네릭 상호인정’의 경우 이번 식약청 발표로 우리측에 불리하게 된 것은 두 말할 필요가 없다. 

조작의 진위 여부를 떠나 발표 시점이 매우 부적절 하다. 해외시장 개척을 노리는 수출기업들은 아닌 밤중에 홍두깨를 얻어 맞았다.이 시점에서 의약뉴스는 생동성을 누가 장려했는지 한 번 되짚어 보고싶다.

정부는 의약분업 이후 보험재정을 점감하고 대체조제 활성화를 위해 생동성 시험을 유도하기 위해  목소리를 높였다.  이에 따라 제약사들은 한 품목당 5,000만원~1억원에 달하는 시험비용을 들이면서 정부시책에 호응해 왔다.

그런데  ▲생동성시험 기관의 시험품목 유치과욕 ▲생동성시험 기준의 미비 ▲관리대책의 부재 등으로 생동조작이라는 엄청한 결과로 나타났다.

 이는 누가 보더라도 정부의 무리한 정책  추진 때문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피바가지를 쓰고 눈물을 흘리고 있는 제약업계에 돌팔매만 던지는 정부 당국자는 대체 어느나라 사람들인지 의약뉴스는 한 번 묻고 싶은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