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번호별 판매자료 제공 약국 '심기' 불편

도매협회 약사회와 협의 자료제공 강행... 불씨 우려

2006-10-21     의약뉴스 박현봉 기자
▲ 우편번호별 판매자료 제공에 개국가가 불편한 심기를 드러내고 있다. 도협은 합의한 사항이니 만큼 문제가 생기면 그 때가서 논의하면 된다는 입장이다. 자료를 주는 도매에 약사들이 제동을 걸고 싶어하는 분위기가 이미지에 나타나 있다.

도매협회가 제약협회에 제공하는 판매자료 방법에 대해 논란이 일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도협의 제약도매협의회와 약국유통위원회, 회원사고충처리위원회는 지난 7일 동별 혹은 우편번호별 판매자료를 제약사에 제공하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에 따라 도협은 우편번호별 판매자료를 넘기기로 한 것. 이에대해 약사회는 우편번호별 판매자료는 사실상 약국별 판매자료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고 제동을 걸었다.

최근의 우편번호는 번지별로 상세히 나눠져 있어 해당약국을 파악하는 별 어려움이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매업체가 우편번호별 판매자료를 제공하더라도 약사회 차원이 아닌 해당약국의 약사가 문제를 제기하면 복잡한 상황이 된다는 것이 약사회측의 판단이다.

도협에서도 사실상 이런 문제를 어느 정도 예상하고 있었다. 그러나 도협은 문제가 소지가 있지만 제약사의 요구와 약사회와 협의로 사태가 확산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했다.

20일 도협 남평오이사는 “우편번호별 판매자료 제공은 약사회와도 협의가 된 사안”이라며 “일단 합의된 내용인 만큼 우편번호별 자료도 제공하고 문제가 생기면 그 때가서 해결할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문제가 복잡한 것은 약사회가 협의를 했다하더라도 약사 개인이 이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거나 소송을 걸면 자료를 제공한 도매업체가 곤란한 입장이 된다는 것이다. 자칫 도매업체와 약사간의 갈등의 씨앗이 되는 것이다.

약사회 차원의 공식적인 반응은 없지만 약사회 주변에는 이런 문제제기가 계속되고 있어 약사회도 입장을 밝힐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더 이상 방치하면 무책임하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구나 도협과 약사회간의 협의를 통해 약사회가 이를 인정한 사안이라면 약사회에 대한 책임론도 제기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