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위국감 약사출신이 의사출신 압도한다"

장복심 문희 생동조작 분업 재평가 등 파상공세 예상

2006-10-10     의약뉴스 김선아 기자
▲ 복지위 국감은 약사 출신 여성 의원들의 맹활약이 기대되고 있다. 성분명처방 대체조제 분업재평가 등 파상공세로 의사출신들을 압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국정감사가 내일(11일)로 예상된 가운데 보건복지위의 경우 약사출신 국회의원의 압승이 예상된다.

현재 국회 보건복지위원회에는 2명의 의사출신 의원과 3명의 약사출신 의원이 소속돼 있다. 이들 국회의원들은 추석연휴기간에도 쉬지 않고 국감을 준비하는 등 바쁜 일정을 소화하고 있다.

의사출신 국회의원인 김춘진 의원(열린우리당)은 의학전문대학원 도입으로 공중보건의 확보가 어려워짐에 따라 농어촌 보건의료서비스 제공이 어려워 질 것으로 예상,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할 예정이다.

김의원실 관계자는  10일 “포지티브리스트에 대해 복지부가 얼마나 신중한 검토를 했는지에 대해 짚어봐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나라당 안명옥 의원은 “특정 단체에 포커스를 맞추지 않고 국감준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안 의원은 생동 조작과 관련한 다양한 질의를 준비하고 있어 행정기관과 격돌이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약사출신인 장복심 의원(열린우리당)은 올해 6년째 되는 의약분업에 대한 평가를 하고 문제를 제기할 예정이다. 또 약사법·의료법 등 각종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것에 대해 복지부의 관리·감독 의무가 제대로 이행되고 있는지에 대해 집중 추궁할 예정이다.

장 의원은 “이러한 규정 단속이 이루어 진 후에도 사후처리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며 “이에 대한 문책을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한미FTA 의약품 현안에 대해서도 “정부가 지켜야 할 원칙과 자세에 대해 문제를 제기할 예정”이라며 “정부가 아직까지 미국의 약점을 잡지 않는 등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지 않고 있다”고 비판했다.

문희 의원(한나라당)은 의약품 관련 국가인정제 도입과 소포장 제도, 불량의약 유통문제 등에 대해 질의할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약사출신 국회의원들은 성분명 처방, 생동성 시비 등 질의내용에 있어 약사의 이익을 반영하는데 큰 활약이 예상되고 있다.  이와관련 한 관계자는 " 이번 복지위 국감은 약사 출신 의원들의 활약이 의사출신 보다 상대적으로 두드러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