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 유연화 선 그은 의대협 “방학 활용해 교육 총량 채울 것”

"현 정부ㆍ국회와 신뢰 쌓여 복귀 결정"...“기존 복귀 학생과 융합 노력할 것”

2025-07-14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의약뉴스] 500여일 만에 학업 복귀를 선언한 의과대학 학생들이 교육부의 ‘학사 유연화 불가’ 원칙에 선을 긋고, 방학 등을 활용해 교육 총량을 모두 이수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복귀 시점 역시 대학 현장의 준비가 필요한 ‘물리적 시간’의 문제로, 정부에 요구 조건을 내건 ‘조건부 복귀’는 아니라는 설명이다.

▲ 이선우 위원장.

대한의과대학ㆍ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이선우 비상대책위원장은 12일 ‘의과대학 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동 입장문’ 발표 직후 이어진 질의응답에서 복귀 시점, 학사 정상화 방식, 기존 복귀 학생과의 관계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 구체적인 입장을 밝혔다.

이 위원장은 복귀 시점을 묻는 질문에 “정확한 날짜를 못 박는 것은 불가능하다”면서도 "정부의 대책 마련을 전제 조건으로 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시점을 제시하지 못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우리가 돌아가겠다고 말만 해서 교육 현장이 바로 학생을 받을 준비가 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여러 주체들의 협력이 선행돼야 하기에, 그 준비를 기다리겠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교육부의 학사 유연화 불가 방침과 관련해서도 특혜를 받을 생각은 없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학사 유연화는 특혜와 다름없다”며 “우리가 말하는 학사 정상화는 압축이나 날림 수업 없이 교육의 총량과 질적 수준을 모두 보장받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이어 “의대 교육에는 예과 기간이나 본과 4학년 2학기, 방학, 계절학기 등 본래 느슨했던 교육 여백기들이 존재한다”며 “이러한 시간들을 모두 활용하면 교육의 질적 하락이나 총량 감소 없이 교육을 모두 이수할 수 있어 그런 방안을 건의하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지난 5월 정부의 복귀 요청에도 응하지 않았으나 두 달 만에 입장을 바꾼 이유에 대해서는 ‘신뢰 관계 회복’을 핵심 키워드로 꼽았다.

이 위원장은 “지난 4월 말, 정부가 제시한 데드라인은 학사일정상 의미 없이 학생을 압박하는 조치라고 판단해 대화 의지가 부족하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현 시점은 다르다"며 "전 정부 때 잃어버렸던 신뢰 관계를 장기간 대화하며 회복해왔다”고 강조했다 

특히 “두 위원장이 노력해준 만큼, 그 믿음에 부응해 교육 현장으로 복귀할 단계가 됐다고 판단한 것이 가장 큰 차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