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의대생 교육 정상화 시급, 정부 정책 방향 전환해야”
총리ㆍ복지부와 신뢰 기반 대화 공감대..."고등교육법상 수업일수 역산 시 시간 촉박"
[의약뉴스] 대한의사협회가 현 의료사태 해결의 최우선 과제로 ‘의과대학생 교육 정상화’를 꼽으며, 이를 위힌 정부의 정책 방향 전환을 촉구했다.
의협 김성근 홍보이사 겸 대변인은 10일 의협회관에서 진행한 정례브리핑에서 “의대생 교육 정상화가 가능한 시간이 굉장히 모자라다”며 “정부, 특히 교육부가 만들어놓은 정책 방향에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최근 국무총리, 보건복지부 차관 등과 만나 대화를 나눈 사실을 언급하며 “다행히 신뢰를 바탕으로 서로 대화하며 문제를 풀어보자는 데 의견을 함께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에 “정부가 신뢰를 주고 있는 만큼 학생들이 자기 자리로 돌아갈 최소한의 환경이 마련됐다고 판단한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그는 "학생들의 복귀를 위해서는 현실적인 어려움 해소가 선행돼야 한다"면서 “학생들과 전공의들이 마냥 기다릴 수는 없다”고 역설했다.
고등교육법상 연간 최소 수업 주수를 역산하면 2월 말까지 남은 시간이 많지 않다는 것이 김 대변인의 지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각 대학에서도 의대생들의 교육 정상화 문제에 대한 고민이 많고, 다행스럽게도 많은 어어려움 속에서도 고민과 답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아직 해결된 문제보다 해결돼야 할 문제가 훨씬 많지만, 이 문제들은 다양한 대화 채널을 통해 해결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기존의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와 같은 하향식 논의 구조가 아닌, 여러 안건을 분리해 다양한 채널에서 논의를 지속하자는 뜻으로 풀이된다.
한편, 총리실 및 대통령실과의 구체적인 대화 내용에 대해서는 “상호 간의 약속에 따라 내용을 공개할 수 없다”며 말을 아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