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수협, 한ㆍ중ㆍ일 3국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 MOU

2025-06-25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의약뉴스]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회장 류형선)는 25일(수) 중국 상하이 CPHI & PMEC CHINA 전시장 내 한국관 홍보부스에서 중국의약보건품진출구상회(회장 저우후이) 및 일본의약품수출입협회(회장 후지카와)와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3국 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 자리에는 의수협 류형선 회장, 중국의약보건품진출구상회 저우후이 회장, 일본의약품수출입협회 후지카와 회장, KOTRA 상하이 정영수 무역관장 등 각국 대표단 및 관계자 20여명이 참석했다.

▲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는 25일(수) 중국 상하이 CPHI & PMEC CHINA 전시장 내 한국관 홍보부스에서 중국의약보건품진출구상회 및 일본의약품수출입협회와 의약품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3국 간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적으로 불안정해진 의약품 공급 체계를 개선하고, 한ㆍ중ㆍ일 3국 간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보건 위기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추진했다.

세 단체는 3국의 의약품 무역과 유통 촉진에 선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이번 협약을 통해 ▲ 필수 및 원료의약품의 수출입과 개발 및 공급을 위한 협력 ▲ 의약품 연구인력, 기술 및 정보의 교류 ▲ 의약품 무역 활성화를 위한 세미나, 학술회의, 워크숍 등 공동 개최에 합의했다. 각 단체는 향후 실질적인 공동 프로젝트 추진을 통해 MOU의 성과를 가시화할 계획이다.

의수협에 따르면 이번 MOU를 통해 3국 간 협력이 본궤도에 오르면 필수ㆍ원료의약품 공급망이 안정화돼 ▲ 원료 재고비용 감소 ▲ 공동구매 등을 통한 원료 조달비용 절감 ▲ 팬데믹 등 위기 대응 비용 절감 ▲ 3국 간 의약품 무역 활성화에 따른 무역창출효과 ▲ EUㆍ인도 등으로부터의 의약품 수입을 역내무역으로 대체하는 무역전환효과 등을 통해 매년 약 120억 달러(약 16.4조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MOU를 계기로 한국 기업이 중국에서 경쟁력있는 가격으로 의약품을 생산, 마케팅 역량을 바탕으로 일본에 등록하고, 나아가 유럽까지 진출하는 3국 간 위탁생산(CDMO) 협력 모델을 구축하거나, 수입 원료 공급 중단을 경험했던 국내 제약사가 이번 협약 이후 중국 및 일본의 원료기업과 비상공급 계약을 체결해 안정적 공급선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란 설명이다.

의수협 류형선 회장은 “한국은 첨단 바이오 기술과 고품질 의약품 생산 역량, 일본은 정밀 제조기술과 희귀의약품 특수 원료 기술력, 중국은 대규모 원료의약품 생산과 공급 능력에서 각각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 가운데 “이번 MOU는 동북아 전체의 공급망 안정성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며 “한국 기업들도 MOU의 후속 조치로 추진될 기술 협력, 연구개발(R&D), 위탁생산(CDMO) 등 다양한 분야의 협력에 적극 참여해 주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중국의약보건품수출입상회(CCCMHPIE) 저우후이 회장은 “이번 MOU는 세 단체 간 오랜 협력과 긴밀한 소통의 결실로, 한ㆍ중ㆍ일 제약 산업의 공동 발전을 위한 실질적인 협력의 발판을 마련한 것”이라면서 “3국 간 협력은 필수의약품 및 원료의약품(API)의 안정적인 공급은 물론,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며, 이는 동아시아 제약산업 협력의 선도적 모델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일본의약품무역협회(JPTA) 후지카와 회장은 “한국과 중국은 일본의 핵심적인 원료의약품 및 완제의약품 파트너 국가”라며 “이번 MOU는 동북아 지역의 의약품 공급 부족 문제를 완화하고, 각국 제약 산업의 성장과 지속적인 발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