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규모 반품 사업 앞둔 약국가 "근본적 해결책 찾아야”

대한약사회, 8월부터 반품 사업 돌입..."애초에 불용재고 자체를 줄여야"

2025-06-20     의약뉴스 이찬종 기자

[의약뉴스] 대한약사회의 대규모 불용재고 의약품 반품 사업을 앞두고 애초에 불용재고 자체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약사회는 오는 8월 1일부터 반품 신청 사이트를 개설, 회원들이 반품 의약품을 전산 시스템에 등록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8월 31일까지 반품 신청을 받아 도매상을 통해 의약품을 수거하고 제약사와 협의해 반품 의약품 정산을 진행할 계획이다.

▲ 대한약사회의 반복된 반품 사업을 두고, 현장에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을 주문했다.

의약품 반품 사업에 앞서 일선 약사들은 약사회를 통해 반품할 의약품 목록을 정리하기 시작했다.

약국가에 따르면, 소염진통제와 위장약 등 다빈도 처방 의약품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의료기관의 처방이 자주 바뀌어 성분은 같지만, 이름이 다른 의약품이 많다는 것

지역 약사회 임원 A씨는 “지역 회원들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진통제와 위장약 불용재고의 반품을 바라는 경우가 많았다”며 “처방량이 많은 의약품이지만, 불용재고도 가장 많은 품목이라는 점이 특징”이라고 전했다.

그 이유로 “다빈도 의약품일수록 이름만 다른 동일 성분 제품이 많고, 의료기관 처방도 자주 상품명이 바뀐다”며 “그 결과 약국에는 같은 성분이지만 이름만 다른 약들이 쌓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특히 “다빈도 의약품은 제품과 유통사가 워낙 많아, 반품 과정이 복잡하다는 점도 문제”라며 “이런 특성 때문에 반품 사업을 진행할 때마다 진통제와 위장약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고 부연했다.

약사들은 약사회의 불용재고 반품 사업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근본적인 해결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약사회 집행부가 출범할 때마다 반품 사업을 벌이고 있지만, 불용재고는 계속 발생해 사회적 비용만 늘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체조제 활성화 등의 제도적 방안과 환자 인식 개선도 함께 진행해야 한다는 목소리다.

약사 B씨는 “진통제의 경우, 성분명과 제조원이 같지만 이름만 다른 제품도 많다”며 “그러나 환자들이 대체조제를 선호하지 않아 사실상 같은 제품을 약국에 들여야 하는 일이 빈번하고, 그 결과 불용재고가 끝없이 늘어나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불용재고 자체를 줄일 방법을 함께 고민해야 할 때”라며 “대체조제 활성화나 성분명 처방 법제화 같은 제도 개선 작업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뿐만 아니라 “환자 인식개선도 필요하다”며 “환자들이 대체조제에 거부감을 느끼지 않도록 할 방법을 찾아야 불용재고를 줄일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