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비의료인 자보 분심위원장 선임 반발 '강력 대응' 천명

"보험업계 편향적 인물로 위원회 구성"..."19일 회의 결과 따라 대응 방안 강구"

2025-06-19     의약뉴스 강현구 기자

[의약뉴스] 대한의사협회가 자동차보험진료수가분쟁심의회 구성에 반발, 대한병원협회 및 대한한의사협회 등과 공동대응을 예고해 귀추가 주목된다.

국토교통부가 자동차보험진료수가분쟁심의회 위원장에 보험업계가 추천한 공익위원을 임명하려 하는 등 보험사에 편향적인 인물들로 위원회를 구성하려 한다는 주장이다.

의료계에 따르면, 갈등은 지난 2월 제13기 분심위가 출범하는 과정에서 발생했다. 

새로 부임한 국토부 담당자가 기존 관례를 깨고, 일방적으로  공익위원을 위원장으로 선임하려 하는 등 독단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는 주장이다.

분심위는 의료기관과 보험사 사이에서 자동차보험 진료비 지급을 둘러싼 분쟁을 심의ㆍ조정하는 기구로, 공정성과 균형을 위해 지난 20년간 의료계 위원이 위원장직을 맡아왔다.

▲ 이태연 위원장.

하지만 국토부는 의료계가 거듭해서 협의를 요쳥했음에도 불구하고, 위원장 선출 안건을 일방적으로 상정했다는 것.

의료계는 이 같은 행보를 보험사가 분심위를 장악해 진료비 지급을 억제하려는 시도로 보고 있다.

의협 이태연 자보위원장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국토부가 내세우는 공익위원은 사실상 보험계의 탈을 쓴 대리인”이라며 “과거 의료계와 보험업계가 동수로 공익위원을 추천하던 관례마저 무시하고, 국토부가 일방적으로 보험사에 편향된 인물들로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분심위의 본질은 돈을 줘야 할 보험사가 지급을 거부할 때 이를 심사하는 것”이라며 “돈을 줘야 할 채무자가 심판을 보겠다는 것인데, 어떻게 공정한 심의가 될 수 있겠는가? 이는 분심위의 존재 이유와 공정성의 근간을 흔드는 폭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특히 “위원장이 보험사 측 입장을 대변하게 되면, 의사 전문위원들의 의학적 판단은 무력화되고 위원회는 보험사의 진료비 삭감 도구로 전락할 것”이라며 “20년간 문제없이 운영되던 안정적인 시스템을 왜 굳이 망가뜨리려 하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힐난했다.

의료계는 이 같은 움직임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대한병원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등과 긴밀하게 공조하며 공동 대응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이태연 위원장은 “국토부의 일방적인 통보에 더 이상 끌려다니지 않을 것”이라며 “오는 19일로 예정된 본회의에서 위원장 선출을 강행할 경우, 모든 수단을 동원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