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CO 2025] 옵디보 위식도접합부위암 보조요법, 장기간 이득 유지

CheckMate 577 최종 분석..무질병생존율ㆍ원격무전이생존율 개선

2025-06-01     의약뉴스 송재훈 기자

[의약뉴스 in 시카고] 항PD-1 면역항암제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 BMSㆍ오노)가 위식도접합부위암 수술 보조요법에서 78.3개월에 이르는 장기간의 추적관찰 결과를 보고했다.

여전히 무질병생존(Disease-Free Survival, DFS)과 원격무전이생존(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DMFS)에서 이득을 유지했다는 평가다.

31일, 미국임상종양학회 연례학술회의(ASCO 2025)에서는 위식도접합부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옵디보 수술 후 보조요법을 평가하고 있는 CheckMate 577연구의 최종 전체생존율(Overall Survival, OS)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 항PD-1 면역항암제 옵디보(성분명 니볼루맙, BMSㆍ오노)가 위식도접합부위암 수술 보조요법에서 78.3개월에 이르는 장기간의 추적관찰 결과를 보고했다.

이 연구는 18세 이상 2, 3기 위식도접합부위암 환자 중 수술 전 보조요법으로 선행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고 추가로 완전 절제(R0)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병리학적 잔존질환이 있는 79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각각 옵디보와 위약으로 수술 후 보조요법을 시행한 후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한 글로벌,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3상 임상이다.

환자들은 각각 옵디보(첫 16주간 2주 간격 240mg, 이후 4주간격 480mg 투약)와 위약군에 2대 1로 배정, 최대 1년간 치료를 받았다.

1차 평가변수는 무질병 생존율로, 앞서 중앙 추적관찰 24.4개월에 옵디보군의 무질병 생존기간 중앙값이 22.4개월로 위약군의 11.0개월을 두 배 이상 상회했으며, 옵디보군의 재발 또는 사망의 위험이 31%(HR=0.69, p<0.001) 감소한 것으로 보고해 2021년 미국과 유럽에서 허가를 획득했다.

이 가운데 31일에는 중앙추적관찰 78.5개월 시점에 평가한 최종 전체생존율 분석 결과가 공개됐다.

분석결과 무질병생존기간 중앙값은 옵디보군이 21.8개월, 위약군은 10.8개월로 옵디보군의 질별 발생 또는 사망의 위험이 24% 더 낮아(HR=0.76, 95% CI 0.63-0.91), 초기에 보고한 이득이 유지됐다.

전체생존기간 중앙값은 51.7개월과 35.3개월로 옵디보군이 16개월 이상 더 길었으나, 아직까지 통계적으로는 의미있는 차이로 이어지지 않았다.(HR=0.85, 95% CI 0.70-1.04, P=0.1064)

원격무전이생존기간 중앙값은 27.3개월과 14.6개월로 두 배 가까이 차이를 보였으며, 옵디보군의 원격 전이 또는 사망의 위험이 25% 더 낮았다.(HR=0.75, 95% CI 0.62-0.90)

한편, 2차 무진행 생존에 있어서도 옵디보군의 2차 질병 진행 또는 사망의 위험이 19% 더 낮았다(HR=0.81, 95% CI 0.67-0.98).

한편, 옵디보군에서는 46%, 위약군에서는 60%의 환자가 후속 치료를 받았으며, 각각 5%와 15%의 환자가 후속 치료에서 면역항암제를 투약했다.

안전성에 있어서는 새로운 이상반응 양상은 보고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