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교수들 “정부, 미복귀 의대생 방치하지 말아야"
교육부 강경대응 발표에 쓴소리...“이대로면 교육 정상화 불가”
[의약뉴스] 의과대학 교수들이 미복귀 의대생들에 대한 정부의 강경대응 방침에 쓴소리를 던졌다.
정부의 뱔표는 이들에 대한 포기 선언으로, 이대로 그들을 방치해서는 안된다는 지적이다
교육부는 지난 9일, 전국 40개 의과대학이 제출한 유급ㆍ제적 대상자 수를 공개하고, 이들을 학칙에 따라 원칙대로 처리하겠다고 예고하는 한편, 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원은 편입학을 통해 충원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복귀한 의대생들의 학습권을 보호하기 위해 범정부 차원에서 대응하겠다는 계획도 전했다.
이처럼 교육부가 미복귀 의대생들에 대한 강경 대응을 강조하자 의대 교수들은 정부가 사실상 의대 교육 정상화를 포기한 것이라 쓴소리를 던졌다.
복귀한 학생과 결원 충원 방안은 제시했지만, 수업에 복귀하지 않은 의대생들에 대한 대책은 전무하다는 지적이다.
의대 교수 A씨는 “정부 발표를 보면 돌아온 학생들의 교육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유급 학생들을 내년에 어떻게 교육할 것인지에 대한 청사진은 전혀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금처럼 상황을 방치하면 내년에도 의대 교육은 제대로 이뤄질 수 없다”며 “교육부가 지난 4월처럼 의대생들과 직접 만나 대화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교육부가 미복귀 의대생에 대한 해법을 내놓지 않는다면, 지역 의대의 교육 정상화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는 우려도 나온다.
정부가 2025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을 비수도권 중심으로 증원한 상황에서, 수업에 참여하지 않은 학생들의 상당수가 지방 의대에 재학 중이기 때문이다.
의대 교수들은 이대로 상황이 흘러가면 2026년에는 정원의 3배에 달하는 학생들이 한꺼번에 교육을 받아야 하는 상황이 올 수 있으며, 그럴 경우 지역 의대를 중심으로 의대 교육 시스템이 무너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의대 교수 B씨는 “지금 가장 문제가 심각한 곳은 지역 의대라는 점을 명확히 인식해야 한다”며 “정부가 지역 의대 정원을 거의 두 배로 늘린 만큼, 상황을 방치할수록 지역 의대 교육의 붕괴는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역 의대가 무너지면, 해당 지역의 거점 의료를 책임지는 대형 병원들도 타격을 입게 된다”며 “지역 의료를 살리기 위해 추진한 정책이 오히려 의료 체계를 무너뜨릴 수 있다”고 지작했다.
이에 “정부가 더 늦기 전에 의대생들과의 대화에 나서고, 이들이 안정적으로 교육받을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마저 손을 놓는다면 의대 교육 정상화는 사실상 불가능해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