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오른 21대 대선, 보건의료계 공략법에도 변화
개별 만남에서 단체 만남...“부족한 시간으로 선거 운동 방식도 바뀌어”
[의약뉴스] 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이 후보 등록 절차를 마무리, 오늘(12일)부터 본격적인 선거운동에 돌입한다.
그러나 선거운동 기간이 짧아 보건의료계 단체를 향한 대선 후보들의 움직임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기존에는 대선을 앞두고 후보 또는 후보 캠프 관계자들이 보건의료 단체를 직접 방문해 지지를 호소하거나, 정책 건의서를 전달받는 방식이 주를 이뤘다.
하지만 이번 대선에서는 후보들이 개별 단체를 방문하기보다 여러 단체 대표를 한 번에 만나는 형식의 간담회가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지난 8일, 대한의사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간호협회, 대한약사회, 대한영양사회, 대한의료기사단체총연합회 등 다양한 보건의료 단체 대표들과 만나 민생정책 협약식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직능 단체 대표자들은 각 단체의 현안을 정리한 정책 공약을 이 후보에게 전달했다.
최근 혼란 끝에 국민의힘 대선 후보로 확정된 김문수 후보 역시 직능 단체 대표자들을 한 번에 만나는 방식의 간담회를 진행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더불어민주당 전현희 공동 선대본부장이 지난 10일 의협을 방문해 정책 제안서를 받긴 했지만, 이는 의료대란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반영된 행보일뿐, 다른 직능 단체들을 하나하나 방문하지는 않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으로 급하게 치러지는 만큼, 과거보다 선거운동 시간이 부족해 개별 단체를 차례로 만나는 방식은 사실상 어려워졌다는 것.
보건의료계 관계자 A씨는 “이번 선거는 한 달 이내에 후보를 선출하고 선거운동까지 준비해야 해 후보들이 지방 유권자를 만날 시간조차 부족한 상황”이라며 “여건상 후보들이 각 단체를 직접 방문해 의견을 청취하는 방식은 어렵고, 민주당이 주최한 행사처럼 여러 직능 단체 대표들을 한 번에 만나는 형식이 대부분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선 후보들의 보건의료 공약 또한 지난 2024년 총선과 유사한 수준에 머물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공약을 준비할 시간이 부족해 기존 정책의 연장선에 있는 내용이 주를 이룰 가능성이 크다는 것.
지난 대선에서는 탈모약 급여화, 비대면 진료 법제화 등 새로운 공약이 주목받았지만, 이번에는 신선한 공약보다는 지난 총선에서 제시된 지역ㆍ필수의료 강화 방안이 다시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보건의료계 관계자 B씨는 “대선 때마다 새롭고 눈길을 끄는 보건의료 공약이 나왔지만, 이번에는 그런 기대를 하기 어려울 것 같다”며 “급변하는 정치 상황 속에서 정당들이 정책 개발에 쏟을 시간이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사회적 관심이 높은 지역ㆍ필수의료 지원 방안이나 AI 관련 공약 정도는 나올 수 있지만, 직능 단체들의 개별 요구를 반영한 구체적 공약은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