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의대생 간담회 결렬, 의대 정상화 새 국면으로
입장 차로 인해 회동 무산...“5월부턴 새로운 상황 벌어질 것”
[의약뉴스]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추진됐던 교육부와 의대 학생회장들의 간담회가 결국 무산됐다.
이에 의대생들의 수업 거부 운동이 장기화되면서, 의대 교육 정상화 작업은 새로운 국면을 맞을 전망이다.
앞서 교육부는 지난 24일 이주호 장관 명의로 전국 의대 학생회장들에게 간담회를 요청하는 공문을 발송했다.
이후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의대생들과 이주호 장관의 만남이 성사될 것으로 보였지만, 간담회 일정을 둘러싼 교육부와 의대생 단체 간의 충돌로 사라졌다.
교육부가 대학들이 복귀 시한으로 예고한 4월 30일 이전에 간담회를 열어야 한다는 입장을 의대생 측에 전달하자, 의대생들은 5월 2일에 간담회를 진행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에 교육부는 대학들이 수업 미참여자와 미복귀 학생에 대해 학칙에 따른 행정 처리를 예고한 상황에서, 의대생들이 제안한 일정에 간담회를 여는 것은 어렵다고 판단하고 일정 조율을 중단했다.
교육부는 5월 이후 의대생들과 간담회를 진행하게 되면 대학들에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고 보고, 일정을 더는 조율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는 29일 의약뉴스와의 통화에서 “대학들이 제시한 학생 복귀 시한이 이번 달 말까지였고, 이에 따른 행정처리 상황을 지켜본 뒤 간담회를 열려 한다”며 “수업 복귀 인원이 얼마나 되는지, 유급 인원이나 기타 행정처리 대상이 누구인지 확인하는 게 우선이라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교육부는 대학들이 제시한 기한 이전에 만나자고 요청했지만, 학생들이 5월 초에 만나자고 주장해 일정 조율이 어려웠다”며 “교육부가 대학의 행정 처리를 늦추려 한다는 오해를 살 수 있어, 일정 조율을 중단했다”고 설명했다.
의료계에 따르면, 의대생들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이 동결된 것 외에는 의대 교육 여건 개선이나 정부 의료 정책의 전환 등 실질적인 변화가 없다는 데 불만을 품고 있다.
이에 수업을 거부 중인 학생들 사이에서는 유급을 감수하더라도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의료계 관계자는 “의대생들은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동결한 것 외에는 달라진 것이 없다고 보고 있다”며 “그 결과, 유급을 불사하더라도 저항을 계속하겠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의료계 내부에서도 학생들이 자신의 득실을 잘 따져 신중하게 결정하길 바란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교육부와 의대생들이 대학들의 행정 처리 이후에 간담회를 열게 된다면, 그때는 대화의 분위기와 주제가 지금과는 크게 달라질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이미 일부 학생들이 유급이나 제적 처분을 받은 상황에서는, 교육부와 의대생 간 대화의 의제 자체가 바뀔 수 있다는 것이다.
의료계 관계자는 “교육부가 4월 30일을 일종의 마지노선처럼 설정한 만큼, 이후에 간담회를 열면 상황은 지금과는 상당히 달라질 수 있다고 본다”며 “대학들이 행정처리를 마친 상황에서는 교육부와 학생들이 나눌 수 있는 대화의 내용이 바뀔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앞으로도 상황이 급변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정부와 학생들의 움직임을 계속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